▲ 조재홍 K-water 아산권관리단장 |
우리 몸의 70%가 물로 이루어져 있듯이 지구의 70%도 물이다. 따라서 지구가 아니라 '수구(水球)'라고 부르는 게 맞다는 학자도 있다. 과학자들은 지구의 나이를 45억 년으로 추정하는데, 물도 지구 생성 초창기인 40억 년 전 등장한 것으로 보고 있다. 물의 기원은 여러 가설이 있지만 얼음을 품고 있는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하면서 생겨났다는 것이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물은 모든 생명을 탄생시켰으며, 동시에 그 생명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환경을 유지시켜 준다. 사막 지역이 낮에는 온도가 매우 높다가 반대로 밤이 되면 혹독하게 추워지는 것도 물이 없기 때문이다.
오늘날 지구상의 문제를 거론할 때 빠짐없이 등장하는 것이 '물의 위기'라는 단어다. 69억명의 세계 인구 가운데 최소 11억명 이상이 깨끗하고 안전한 식수를 얻지 못하고 있다. 매년 180만 명의 어린이가 물 부족 혹은 오염된 식수로 인해 사망한다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조사 결과는 물 위기를 단적으로 말해준다.
곳곳에서 물의 위기를 경고하는 신호가 감지되고 있지만 한번에 해결하기는 어렵다. 우리가 유용하게 사용하는 유수(流水)가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물 자체도 매우 무거워(석유보다 20%) 이동이 어렵기 때문이다. 세계 유수의 3분의 1은 브라질과 북미 대륙, 러시아에 있지만 이곳의 인구는 세계의 10분의 1에 불과하며, 반대로 세계 인구의 3분의 1이 모여 있는 반건조 지역에는 물이 8%만 존재하고 있다.
결국 지구상의 모든 물문제는 국지적이다. 수도꼭지만 틀면 콸콸 쏟아져나오는 맑은 물에 익숙한 우리로서는, 한 동이의 물을 얻기 위해 수 km를 걸어야만 하는 아프리카 어느 부족의 곤궁한 현실이 잘 와닿지 않는다.
문제를 국내로 국한해도 마찬가지다. 2009년 태백을 중심으로 한 강원 남부지역에서는 취수원이 말라버렸다. 이로 인해 무려 88일 동안 23만 명의 주민들이 하루 세 시간만 물을 공급받는 사태가 벌어졌지만 나머지 지역은 거의 물 부족을 경험하지 않았다. 2011년에도 충남 서부지역에 104년 만이라는 최악의 가뭄이 닥쳤지만 다른 지역과는 동 떨어진 문제였다. 한강에 물이 넘쳐나도 영남 남동부의 가뭄을 도와줄 수 없으며, 전남 섬 지역의 물 부족을 해소할 수 없다.
따라서 물은 각 지역의 여건을 고려해 장기적이고 치밀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물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특성을 감안하면서 각 지역의 기후와 지형 조건, 그리고 주민들의 물 사용 습관 등이 종합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최근 '스마트 워터 그리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데, 이는 ICT를 활용하여 수원을 다변화하면서 에너지를 적게 들이고 물 공급·관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앞선 시스템이다. 즉 어느 지역에 어떤 수준의 물이 얼마만큼 필요하고 소비되는지에 대한 양 방향 정보를 종합적으로 진단,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물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완성하려면 여러 가지 인프라가 뒤따라야 하고 적지않은 비용도 필요하지만 물 문제 해소를 위해 피할 수 없는 과제다.
아울러 물 값이 가격탄력성을 가질 수 있을 정도로 인상되어야 하며, 가정용수의 25%를 차지하는 화장실 변기 용수를 재생수로 하는 방안이 시급히 도입되어야 한다. 지난 22일은 UN이 정한 '세계 물의 날'이었다. 흔히 20세기는 '석유의 시대', 21세기는 '물의 시대'라는 말을 한다. 물의 시대가 '물의 위기 시대'로 정의되지 않도록 전문가는 물론 모든 국민들이 머리를 맞대야 할 것이다. 물의 운명이 바로 인류의 운명이기 때문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