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1월 소상공인들이 느끼는 체감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은 설 명절 소비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을 뿐 아니라 조류인플루엔자(AI) 발병으로 닭·오리 업종을 비롯한 음식점업의 영업이 부진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AI가 경기 전반에 대한 체감지수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때 AI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충남도의 경우 가볍게 넘길 수 없는 일이다.
소상공인 경기동향 조사에서 하락폭이 가장 심한 업종으로는 숙박업이 72.2로 전월대비 32.3P 하락했으며 음식점업이 82.6으로 전월대비 29.5P 하락했다. 또 스포츠·오락 관련 서비스업이 87.8로 전월대비 21.9P 하락하는 등 타 업종에 비해 하락폭이 심했다.
국민들이 관광이나 나들이 또는 외식 등을 줄이는 형편이며 결국 돈이 돌지 않는 상황인 것이다. 불황 타개책으로 정부가 나서서 고소득층의 소비지출을 유도하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지난달 현대경제연구원이 밝힌 ‘소득계층별 소비여력과 시사점’ 보고서에서도 고소득층의 소비지출 유도의 필요성이 제시된 바 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고소득층의 월평균 실질가처분소득은 587만원으로, 저소득층의 66만원에 비해 9배 이상 높았다. 반면 고소득층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323만원으로 저소득층의 90만원에 비해 3.6배에 불과했다. 소비여력이 충분한 고소득층이 지갑을 닫고 있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고소득층의 소비 여력 중 10%만 소비해도 신규 일자리가 연간 16만8000명, 국내 GDP는 연평균 약 7조2000억원 증가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결국 침체된 내수 활성화를 위해 소비 여력이 충분한 고소득층의 소비지출 확대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나 지자체가 눈을 크게 뜨고 이에 대한 묘안을 짜내야 하는 것이다. 관광 인프라 확충을 통해 고소득층의 해외관광을 국내로 유도하는 방안 등도 이 가운데 하나라는 점 알아둘 필요가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