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원묵 한밭대 총장 |
최근 대학은 위기를 맞고 있다. 그 이유는 대학의 전통적 가치인 공공성이 확대되고 무한경쟁에서 유발되는 상업성이 크게 강화되어 가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 대학의 공공성은 대학의 본질인 학문연구와 인재양성에만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학문연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이전을 통해 지역경제를 리드하고 졸업생들의 취업과 창업을 통해 그들의 꿈을 이루어 주어야 하며 국가와 지역발전의 견인차가 되어야 하는 막중한 책무가 더해졌다. 학령인구 감소로 입시경쟁 시대가 지나가고 우수학생 유치를 위한 마케팅은 물론이고 대학의 브랜드가치를 높이기 위한 교육의 질 경쟁 시대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대학위기는 가속되고 있다. 해마다 발표되는 언론사의 대학랭킹 선정결과와 취업률, 재정 건전성등과 같은 지표들이 대학평가의 중요한 잣대가 되고 있는 것이 그 실례다. 그 결과 그동안 대학교육의 공공적 가치를 이유로 용인되던 고비용 저효율의 대학운영시스템이 경쟁적 경영구조인 저비용 고효율 구조로의 개혁을 요구받고 있다. 이는 그동안 대학정체성이 공공성에 치우쳐 왔기 때문에 상아탑으로서의 지위를 인정받아 그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었지만 이처럼 무한경쟁시대에서 상업성이 크게 강화됨으로써 대학은 변화의 소용돌이 속으로 휘말려 들어가고 있는 것이다.
과거에 국립대학재정은 정부 지원금과 등록금, 사립대학은 재단 전입금과 등록금만으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었지만 오늘날은 이처럼 경쟁 구도가 크게 강화됨으로써 대학의 재정수요가 늘어나고 있고 이를 마련하기 위해 대학은 다양한 경영전략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 예를 들면 학령인구 감소와 학벌사회 퇴조로 인한 우수학생 유치 마케팅, 교육과 연구 경쟁력 제고를 위한 우수교원 유치, 교육환경 개선,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인프라 확충, 산학협력 강화 등을 위한 많은 재정을 필요로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국제화 시대에 학생교류, 공동연구 등을 통하여 외국 우수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긴밀한 협력도 필요하다. 따라서 대학의 고비용 저효율 운영시스템은 바꾸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
대학교육은 긴 주기를 갖는 매우 중요한 생명체다. 유럽에서 오늘과 같은 대학교육은 15세기 존로크와 같은 수많은 계몽주의 학자들에 의해 정립되었으며 그 결과 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탄생시켰고 실용주의 학문이 발전하여 산업혁명을 통해 현대 문명을 일으켰다. 우리가 불과 60년 전 전쟁의 폐허 속에서 세계 7대 무역국으로 성장한 것도 바로 우리 선조들의 강한 교육열을 바탕으로 한 대학교육의 결과가 절대적이었다는 것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사실이다.
요즘 대학은 사회로부터 뜨거운 질타를 받고 있다. 피터 드러커는 대학은 기업이나 관료사회보다도 변화 속도가 느려서 결국 소멸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많은 학자들은 시대변화에 따른 대학의 유동성과 유연성 부족을 질타한다. 교육정책은 대부분 정책자 임기 중의 결과만 중시해 단기정책과 성과만을 강조하고 있고 경제계와 산업계 인사들은 경제성과 효율성만을 강조한다. 그러나 오늘 날 대학의 위기는 공공성과 상업성의 간극에서 비롯되고 있으며 이들의 조화된 중장기적 정책이 절실하다. 마치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선수들의 피나는 노력에 비하여 열악한 지원책은 탓하지 않고 저조한 금메달 개수에 싸늘해지는 시선들처럼 대학교육도 반값등록금에는 사회적 관심을 두면서 정작 교육의 질은 외면하는 이중적 태도를 극복해야 한다. 지금 대학의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대학만이 아니라 정부와 정치, 사회, 경제계 모든 분들이 지원해 주어야 한다.
영국의 대문호 찰스 디킨스의 두 도시 이야기 마지막 구절엔 “지금은 최고의 시간이면서 최악의 시간이고 희망의 봄인 동시에 절망의 겨울이기도 하다”라는 말이 있다. 지금 대학 구조개혁과 특성화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우리의 현명한 선택이 위기를 기회로 바꾸고 대한민국의 미래에 희망의 봄을 가져올 수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