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고교생 “교실 청결도 불만족”

  • 사람들
  • 뉴스

대전 고교생 “교실 청결도 불만족”

52% “공기오염으로 질환 경험”… 4개교 필기구서 대장균

  • 승인 2014-01-23 18:11
  • 신문게재 2014-01-24 5면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교실 청결도에 대해 대전지역 고등학생 상당수가 “불만족”하고 있으며 교실 공기오염으로 인해 알레르기나 호흡기 질환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시민참여연구센터의 2013년도 청소년 연구조사 활동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지역 고교생 8명이 '학교교실 공기질의 오염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대전지역 고등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 131명(62%)의 학생이 “도시 공기오염이 교실의 공기오염에 해를 끼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교실의 환경상태에 대해서는 “불만족스럽다”고 답한 학생이 152명(72%)이었고, “보통” 44명(21%), “어느 정도 만족한다” 14명(7%)으로 나타났다.

교실 공기질로 인해 알레르기나 호흡기 질환을 경험한 적이 있는가라는 문항에는 109명(52%)이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62명(29%)이 “없다”, 39명(19%)이 “모르겠다”고 답했다.

교실 공기오염의 원인으로는 “먼지 등 축적된 유해물질”이 126명(60%)으로 가장 많았고, “분필가루” 41명(20%), “외부오염공기 유입” 23명(11%), “많은 학생들로 인한 가스” 20명(9%)으로 나타났다.

교실 공기오염물질이 잘 제거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환기시설 미흡” 105명(50%), “청소미흡” 60명(29%), “교육기관의 관심부족” 34명(16%), “법적 규제 미흡” 11명(5%)으로 나타났다.

교실 환경오염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에는 167명(80%)이 “규제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우선적으로 필요한 개선안에 대해서는 “환기시설/공기정화 설치” 126명(60%), “시설개선 및 현대화” 32명(15%), “오염원인 제거” 30명(14%), “청소전문업체 의뢰 청소” 16명, “기타” 2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둔원고, 송촌고, 중앙고, 충남고 등 대전지역 4개 고등학교의 일부 교실에서 일반세균과 대장균, 포도상구균의 수를 측정, 교실환경의 오염도를 파악한 결과 4개 학교 교실의 일반세균 수는 최대 35, 최저 15 CFU/Plate_15mins이 나와 일반구역 관리기준(100 이하 CFU/Plate_15mins)에 밑도는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학생들이 직접 만지고 사용빈도가 높은 필기구와 출입문 손잡이, 책상에서 비교적 많은 일반세균이 관찰됐다. 필기구 최대 84, 출입문 손잡이 최대 77, 책상 최대 65 CFU/Plate_15mins의 일반세균이 검출됐다. 필기구의 경우 4개 학교 모두에서 대장균이 검출됐다.

연구조사에 참여한 학생들은 “설문 응답자 중 91%의 학생이 학교에서 10시간 이상 오래 생활하고 있기에 교실 실내 공기질은 매우 중요하다”며 “교실환경을 위한 개선책으로 환기시설 사용과 실내공기 오염원 제거 등 적극적인 노력이 이뤄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이번 연구조사는 둔원고 김서연, 박찬규, 이정민 군과 송촌고 윤승렬, 충남고 김정호, 중앙고 김재희, 이경훈, 이용석 군 등 고2학생 8명이 참여했다.

김의화 기자 Apr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번주 대전 벚꽃 본격 개화…벚꽃 명소는?
  2.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3.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4.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5.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1.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2.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3.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4. 세종대왕 포토존, 세종시의 정체성을 담다
  5.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헤드라인 뉴스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12·3 비상계엄 선포로 탄핵당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가 4일 오전 11시 내려진다. 앞서 탄핵 심판대에 오른 전직 대통령의 파면 여부를 가른 핵심은 법률을 위반하더라도 위반의 중대성, 즉 헌법 수호의 관점에서 중대한 위법행위 판단 여부였다. 다만 정부와 정치권 모두 ‘헌재 결정 수용’을 강조하고 있지만, 헌재가 어떤 판단을 내리더라도 정국 혼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헌재, 철저한 보안 속 선고 준비=윤 대통령의 운명을 결정할 탄핵 심판 선고기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헌재는 4일 오전 11시 서..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

  •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