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안전행정부 정부세종청사관리소 및 시에 따르면 정부는 올 한해 정부세종청사 이전 공무원의 출퇴근 지원에 약 99억원의 예산을 반영했다. 이는 지난해 75억원보다 24억원 늘어난 수치로, 이전 공무원 규모가 1만여명을 넘어선 상황을 고려했다. 수도권 출퇴근 버스는 본격적인 지원 전인 2012년 13대에서 평균 95대 수준까지 확대됐다. 평일 기준 출근길 91.2대, 퇴근길 평균 99.3대가 운행 중이다.
신정 후인 지난 2일에는 수도권서 4000여명 이상 통근버스를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세종시 인근 지역 통근버스도 59대 운영 등 확대 일로다. 오송역권은 5대에서 9대, 조치원권은 7대에서 10대, 반석역권은 3대에서 5대, 노은권은 6대에서 10대, 둔산권은 4대에서 8대까지 늘었다. 대전 동구(2대)와 중구(1대), 서구(2대), 공주(2대)도 소폭 증가했다.
다만 첫마을은 12대에서 최근 8대로 줄였다. 차로 5분 거리, 자전거로 15분 거리라 지원대상이 아니지만, 그동안 1900여명에 달하는 첫마을 거주 공무원을 수용할 대중교통이 없기에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공무원 전세 KTX는 상행 180석, 하행 240석을 운영 중이다. 정부는 올해 3000여명에 가까운 3단계 이주 공무원 규모를 감안할 때, 내년 상반기까지 운영 확대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반면 이주 공무원의 연착륙 지원은 대중교통 활성화 흐름과 맞물려 예산낭비 등의 딜레마를 양산하고 있다. 시가 추정한 올해 일반 시내버스 및 BRT 운영 적자 규모는 50억여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배차간격 단축과 첫·막차 시간 연장, 증차 등에 따라 불가피한 규모로 분석된다.
예정지역 이주자를 위한 대중교통 인프라 강화 조치지만, 초기 이용률이 낮아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수도권 3000여명, 인근 지역 1500여명 등 모두 5000여명에 가까운 중앙 공무원의 세종시 조기 정착과 통근버스 운영 축소없는 활성화는 불가능해 보인다. 세종청사관리소 관계자는 “세종시에 대해 여전히 반신반의하는 공무원이 많아 정착을 꺼리고 있어 차량 축소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어느 한쪽을 줄이면 형평성 문제가 나와 이마저도 쉽지 않다. 내년까지는 기다려줬으면 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세종=이희택 기자 nature2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