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당진항발전협의회(위원장 김천환)와 (사)당진시개발위원회(위원장 김종식)는 평택지방해양항만청에 탄원서를 제출, 동국제강 실권주를 지역사업자에게 배정해 지분 51% 조정 단일운영회사 운영 과실이 있는 동국제강과 인터지스 배제 지역사업자 중심 TOC사업자 재선정 등을 건의했다.
당진항 고대부두 7,8번 선석은 국가가 공용부두로 건설했으며, 주무관청인 평택지방해양항만청은 지역 사업자의 권익을 보호한다는 취지로 8번 선석을 동국제강(55%)이 주간사로, 계열사인 인터지스(25%)와 지역사업자인 아산해운(10%)과 충청해운(10%)이 참여한 당진고대부두운영㈜을 운영권자로 선정했다.
그러나 주간사이며 대주주인 동국제강이 사업개시도 전에 스스로 사업 참여를 포기하고, 자회사인 인터지스에 대표권을 임의로 넘겨줘 말썽이 되고 있다. 또 동국제강은 2년여 전 부두 위탁운영 심사를 받기 위해 신청서를 제출하면서 물동량 60%를 책임지겠다고 서류를 올렸고, 이 부분이 높은 점수를 받아 허가를 받았다.
하지만 현재는 경기가 어렵다는 이유로 물량확보에는 관심이 없고, 지분(11만주)만 갖고 행세만 하고 있어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동국제강이 당초 책임지겠다고 제시했던 60%의 물동량 기준마저 없어지는 등 조건이 바뀌었으므로 원인무효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이 같은 사정으로 동국제강을 믿고 이 사업에 뛰어든 지역업체들은 피해만 고스란히 떠안아야 할 상황이라며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지역업체 관계자는 “국가가 700억~800억원을 투입해 부두를 만들어 놓고, 대기업의 꼼수에 놀아나고 있다”며 “동국제강이 자격을 상실했으니 지역업체에 경영권을 넘겨줘야 한다”고 말했다. 또 “지역업체가 끌려가는 입장이 돼서는 안되고 경영권 확보 차원에서 지분은 그대로 놔두더라도 이사를 동수로 하는 등 결정권을 동등하게 행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국제강의 한 관계자는 “선정 당시에는 철강 물동량이 충분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2년이 지난 지금은 한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불투명한 상황”이라며 “동국제강이 손을 떼는 것이 아니라 전문화된 기업에 운영을 맡기는 것으로 운영 상 약간의 변화가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평택해양항만청 관계자는 “동국제강이 사업을 포기한 것이 아니며, 물동량에서 미달되는 부분 만큼 위약금을 물도록 계약이 돼 운영상 문제는 없다”며 “경영권 다툼은 내부적으로 해결할 사항일 뿐 자격박탈이나 재입찰은 어불성설”이라고 밝혔다.
한편 고대부두 8번 선석은 27일 개장해 운영할 예정인 가운데 지역업체들은 이를 막기 위해 물리적 행동도 강행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져 일촉즉발 상황이다.
당진=박승군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