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나라현]도래인이 있었기에 피어난 불교의 꽃…

[日 나라현]도래인이 있었기에 피어난 불교의 꽃…

日문화 탄생한 땅 '나라' 韓中불교ㆍ문화근원 받아들여 한반도에서 고분ㆍ아스카시대부터 선진 기술 전파

  • 승인 2013-12-19 14:06
  • 신문게재 2013-12-20 9면
  • 박태구 기자박태구 기자
●백제문화의 흔적을 찾아서-일본 나라현

▲호류지절 5층탑
▲호류지절 5층탑
일본의 나라현은 백제문화가 전파된 대표적인 지역이다. 일본 이소노가미신궁에는 백제 근초고왕이 일본 왕에게 하사한 칠지도가 보관돼 있으며, 백제시대 불교 전파의 증거로 동대사(東大寺, 도다이지 절) 등이 세워져 있다. 그래서 나라현은 일본 역사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나라현은 2011년 10월 충남도와 우호교류협정을 체결한 도시로서 과학기술과 문화, 관광, 체육 등 다방면에서 활발한 교류활동을 펼치고 있다. 나라현의 초청으로 백제문화가 전파돼 일본 국가를 시작한 아스카촌 등 충남과 인연이 깊은 역사문화 관광지를 둘러봤다. <편집자 주>

나라현은 일본 열도의 중심에 있는 도시로, 역사와 문화, 먹거리 등이 융합된 간사이지방에 자리잡고 있다. 예로부터 야마토노쿠니로 불리며 현재까지 이어져 온 일본 문화가 탄생한 땅이다. 710년에 헤이조쿄가 수도가 된 후에는 실크로드의 종착점으로서 유럽을 비롯해 아시아의 각국과 많은 교류를 해 왔으며, 중국과 한국 등 이웃 나라로부터 불교와 풍부한 문화의 근원을 받아들여 발전해 왔다. 일본에 있는 16건의 세계유산 중에 3건은 나라에 있다. 고도 나라의 문화재, 호류지 절 지역의 불교 건조물, 기이산지의 영장과 참배길 등이다. 현재 인구 140만명의 나라현에는 긴 역사와 문화가 길러온 풍부한 관광자원이 다수 존재하며, 도쿄, 오사카, 교토와의 접근성도 좋아 다양한 여행루트를 선택할 수 있는 지리적 장점을 갖고 있다. 나라현은 한국과 인연이 깊은 곳이다. 710년 나라에 수도가 세워지기 전부터 고분시대나 아스카시대에는 한반도에서 많은 사람들이 일본에 건너왔다. 그들은 토기제작, 농경기술, 토목기술, 양잠, 한자, 의학 등의 많은 선진기술과 교양, 문화를 가지고 일본에 건너갔다. 일본인들은 그들을 존경하는 마음으로 도래인(渡來人)이라고 부르게 됐다. 나라현은 북부, 서부, 동부, 남부지역 등 4개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나라 대불의 북부지역=긴테쓰 나라역에서 동쪽으로 보이는 와카쿠사야마 산을 바라보면서 걸어가다 보면 잔디밭 위를 느긋하게 걸어 다니는 사슴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660㏊의 면적에 도다이지 절과 코후쿠지 절, 가스가타이샤 신사 등 세계문화유산을 품은 아름다운 나라공원은 초록의 낙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울타리와 입구가 없어 언제, 어디서든 산책할 수 있는 낙원이 있고, 신의 사자로서 오랫동안 사람과 공생해 온 사슴과 교감할 수 있다.

와카쿠사야마 산 기슭에 넓은 경내를 가진 도다이지 절은 기근과 지진 등의 재해에 직면한 8세기경. 이를 근심한 쇼무 천황이 국가의 평안과 국민의 행복을 기원하며 건립한 대사원이다. 거국적인 대업이었던 대불 주조는 3년이나 걸렸으며, 752년 대불 개인의식이 성대하게 거행됐다. 12세기 이후 두 번의 전쟁과 화재를 겪어 전당이 소실됐으며, 현재 건물의 대부분이 17세기 이후에 재건된 것이다.

▲도다이지 절의 노사나불
▲도다이지 절의 노사나불
도다이지 절에서 가장 볼만한 것은 '나라의 대불'로 높이 약 15m, 무게 약 380t을 자랑하는 세계최대의 금동불인 본존의 노사나불과 대불을 안치한 다이부쓰덴 이다. 목조건축의 다이부쓰덴은 폭 57m, 깊이 50m, 높이 49m이며, 화랑으로 둘러싸인 안쪽으로 위풍당당하게 서 있는 불상의 모습은 감동적이기까지 하다.

일본의 국보급 불상의 17%를 소장한 절인 고후쿠지 절은 710년 헤이조쿄 천도 시에 아스카에서 현재의 장소로 옮겨졌다. 일본에서 두번째로 높은 50m 높이를 자랑하는 목재의 오층탑은 '사루사와이케 연못'과 함께 나라를 상징하는 풍경이다. 3개의 얼굴과 6개의 팔을 가진 '아수라상'이 안치된 국보관은 고후쿠지 절이 소장하고 있는 불교미술의 보고이자 역사를 전하는 불교미술이 보관, 전시되는 곳이다. 나라현의 또 하나 자랑거리인 간고지 절은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둥근기와가 사용된 곳이다. 일본 최초의 사찰인 아스카데라 절이 718년에 현재지로 이전하면서 간고지 절이 됐다.

▲호류지 절의 서북지역=나라현 서북지역에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 사찰인 호류지 절이 위치해 있다. 호류지 절은 607년 쇼토쿠 태자와 스이코 천황이 생전에 병을 치유하기 위해 절의 건립을 발원한 요메이천황의 뜻을 이어받아 창건한 절이다. 이 절은 1993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로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돼 있다.

경내의 넓이는 18만7000㎡로 7세기에 만들어진 목조건축이 늘어서 있는 사이인(西院)과 8세기에 세운 도인(東院)으로 나눠 있으며, 국보ㆍ중요 문화재의 건축물이 55여 동에 달한다. 사이인의 금당에는 7세기에 만들어진 약사여래좌상과 석가삼존상을 중심으로 불상을 안치했다. 이곳의 천장에는 천인과 봉황이 나는듯한 청장벽화가 장식돼 있고, 벽면에는 20세기에 복원된 담징의 금당벽화가 그려져 있다. 서쪽에 있는 높이 31.5m의 목조 오층탑은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탑이다.

▲아스카촌의 동부지역=나라현 동부지역에 있는 아스카데라 절에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아스카의 대불이 위치해 있다. 596년에 세워진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이며, 나라시에 있는 간고지 절의 본원으로서 창건 당시에는 현재의 호류지 절의 3배에 달하는 동서 약 200m, 남북 약 300m의 광대한 부지를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탑의 세 방면으로 금당을 두고 그 주위에 회랑을 둘러내었던 대가람이었으나 현재는 제건된 본당만이 남아 있다. 본당에 모시는 본존 아스카 대불은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불상으로 도다이지 절의 대불상보다 150년이나 오래됐다.

아스카의 랜드마크인 이시부타이 고분은 고분을 둘러싼 성토가 떨어지면서 석실이 외부에 노출된 일본 최대급의 횡혈식 석실고분이다. 평평한 천장 부분이 무대와 같이 보인다는 점에서 이시부타이 아고 불리고 있다. 천장의 사각형의 돌과 이를 받드는 30여 개의 거석을 합치면 총 중량 약 2300t, 7세기 초의 권력자인 소가노 이루카의 무덤으로 추측되고 있다.

아스카 자료관에는 아스카의 역사와 문화에 관한 안내시설을 갖추고 있다. 다카마쓰즈카 고분과 아스카데라 절 등에서 나온 출토품과 모형을 전시하고 있다. 불교를 받아들인 6세기부터 나라로 도읍이 옮겨진 8세기까지의 아스카의 역사와 문화를 설명하고 있는 자료관이다. 아스카 자료관 앞의 정원에는 아스카를 상징하는 석조물의 복제품을 전시하고 있으며, 계절마다 특별전이나 기획전도 열리고 있다.

▲벚꽃의 명소 남부지역=나라현 남부지역에 있는 요시노야마 산은 세계유산에 등록돼 있고, 예로부터 벚꽃의 명소로 유명하다. 오미네연산의 북쪽 끝에서 남쪽으로 8㎞나 계속되는 산등성이 일대를 가리키며, 산의 신목으로서 오랫동안 벚나무를 기부받아 심어왔다. 현재는 시라야마 사쿠라 라는 벚꽃을 중심으로 약 3만 그루의 벚나무가 있으며, 4월초순부터 말까지 시모센본, 니카센본, 가미센본, 오쿠센본이 차례로 산 아래에서부터 정상으로 올라가며 꽃을 피운다.

나라현 남부지역에는 하늘 위를 산책하는 듯한 높이의 현수교가 있다. 1954년에 다니세의 마을 사람들이 개인의 재산을 모아서 만든 생활용 현수교다. 마을 사람들은 자전거나 오토바이로 이 다리를 건너가지만, 발 아래로 구마노 강이 내려다보이고 첩첩 산들에 둘러싸인 경치는 환상적인 절경이다.

일본 나라현=박태구 기자 hebalak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결국 '결별'…대전 둔산2지구 통합 재건축 추진준비위 두 곳 출범
  2. 세종 집값 1년 9개월만 최대 상승폭 기록… 대전 풍선효과 수혜 볼까
  3. 한국행정학회, '세종시=행정수도' 지위 확보 방안 찾는다
  4. 세종 교사노조-시의회, 교육 환경 개선 나선다
  5. 종촌종합복지관, 웃음과 나눔이 함께한 '웃기는 경매' 개최
  1. 한국중부발전 세종본부, 저소득 아동에 문화상품권 기부
  2. 30살 맞은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평등과 자치 한길"
  3. 황웅환, 세종YMCA 제7대 이사장 취임
  4. 천안시장 권한대행 김석필 부시장, “행정 공백 최소화 집중”
  5. 대전 서구, 장애인 평생학습 활성화 위한 협약 체결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광역철도 1단계 사업 정상궤도 진입 가능할까

충청권광역철도 1단계 사업 정상궤도 진입 가능할까

수년째 출발선에 서지 못하고 있는 충청권광역철도 1단계(신탄진~계룡) 사업이 정상 궤도에 오를 수 있을지 주목된다. 공사비 증가로 사업이 공회전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정부가 협의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24일 대전시와 국가철도공단 등에 따르면 국가철도공단은 충청권광역철도 1단계 사업과 관련해 후속 공정을 추가한 총사업비를 두고 기재부와 협의를 진행 중이다.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사업은 당초 2023년 말 착공 예정이었으나, 지장물 이설 공사비 증가에 설계적정성 검토를 다시 받으면서 사업 기간이 늘어졌다. 여기에 최근에 신규..

세종 집값 1년 9개월만 최대 상승폭 기록… 대전 풍선효과 수혜 볼까
세종 집값 1년 9개월만 최대 상승폭 기록… 대전 풍선효과 수혜 볼까

대통령실 이전 기대감에 세종 아파트 가격이 들썩이고 있다. 1년 5개월여 동안 30~40%가량 하락했던 세종시 집값이 다시 상승세를 보이며 이전 수준까지 회복할지 주목된다. 여기에 세종시와 인접한 대전 등 지역이 '풍선효과' 수혜를 받을지 이목이 집중된다. 24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4월 셋째 주(21일 기준)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세종 아파트 매매가격은 0.23% 상승해 전주(0.04%) 대비 무려 6배 가까운 급등세를 보였다. 2023년 11월 20일 이후 하락세를 보이던 세종 집값은 지난주 70주..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 국보 지정… 28년 만에 괘불 국보 추가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 국보 지정… 28년 만에 괘불 국보 추가

우리나라 괘불도 양식의 시초로 평가받는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가 국보로 지정됐다. 국가유산청은 조선 후기 불화인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를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지정했다고 24일 밝혔다. '괘불도(掛佛圖)'는 사찰에서 야외 의식을 할 때 거는 대형 불화로, 조선 후기부터 본격적으로 제작됐다. 현재 전국에 약 120여 점이 전하며, 이 가운데 국보 7점, 보물 55점이 포함돼 있다. 이번 국보 지정은 1997년 7점의 괘불이 동시에 지정된 이후 약 30년 만이다. 국가유산청은 "화기(畵記) 등 기록을 통해 제작자와 제작..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류세 인하 폭 축소에 5월부터 기름값 오름세 유류세 인하 폭 축소에 5월부터 기름값 오름세

  • ‘프란치스코 교황이 탑승했던 카트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탑승했던 카트입니다’

  • 옷가게는 벌써 여름준비 옷가게는 벌써 여름준비

  • 책 읽기에 빠진 어린이들 책 읽기에 빠진 어린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