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용상]우송대 LINC사업단장, 철도경영학과교수 |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사람답게 산다는 것'에 대해 고민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다행히 우리가 수용할만한 행복한 삶에 대한 답을 명쾌하게 제시했다. 행복한 삶이란 자신이 가진 모든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며 중용의 삶을 사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적당히'가 아닌 '최선'을 다해 사는 삶. 그렇지만 돈과 같은 재물에 관해서는 '최대'가 아닌 '적당히' 소유하는 절제의 삶을 강조했다. 그는 끝없는 인간의 욕망을 절제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말한다. 충분한 교육이 주어지지 않는 한 절제를 배우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본 그는 교육의 중요성을 설파했다. 이는 국가의 범위까지 확대되는데 즉, 개인에 대한 좋은 교육을 통해 좋은 국가가 만들어 질 수 있다고 보았다.
정치야말로 인간의 선을 실현해야 하는 책임을 지고 있으며 교육은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한 가장 영향력 있는 수단이다. 이상적인 국가는 재원과 영토 그리고 올바른 정치적 사회적 제도를 갖고 있더라도 적절한 교육 체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구현될 수 없으므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국가의 당연한 관심사 일 수밖에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좋은 교육은 공교육, 조기교육, 기회가 고루 제공되는 교육이며 읽기, 쓰기, 체육, 음악, 미술 등의 교육과정을 추천했다.
아울러 그는 가정을 국가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보았다. 가족 간의 조화로운 관계를 행복한 가정을 이루기 위한 열쇠로 보았다. 좋은 국가 역시 국민의 삶을 행복하게 해주어야 하는데 국민들에게 환경적인 면, 신체적인 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영적인 면을 만족시켜야 한다. 즉 물질적, 육체적 건강은 물론 정신적으로 풍요로움까지 책임져야 한다는 주장이 이채롭다. 물론 국민도 법을 지키는 선 안에서 자신에 주어진 책임과 의무를 다해야 조화로운 국가가 된다고 했다.
첨단 테크노 시대에 사는 요즘, 필자가 종종 고전을 펼쳐드는 이유는 단순하다. 적지 않은 나이의 필자도 요즘을 살면서 종종 길을 잃고 헤매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혼란에 빠지기 때문이다. 그건 기본을 놓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주위의 상황이, 요즘의 정치가 기본을 벗어나기 때문에 궤도를 잃고 있는 건 아닐까.
아리스토텔레스가 우리에게 주는 해답은 명쾌하다. 첫째, 개인은 가진 것에 만족하며 최선을 다해 살아야 하고 법을 잘 지키고 책임과 의무를 다해야 한다.
둘째, 가정이 중요하다. 사회의 최소단위로 부모는 사랑의 마음으로 자녀를 양육해야 한다. 따스한 가슴으로 아이들을 권면하고 이끌어야 한다. 자신의 등을 보고 자라는 아이들에게 행동으로 말해야 한다.
셋째, 국가는 교육의 문제에 최대한의 관심을 가지고 공교육이 국민들의 신체적, 정신적, 영적인 면을 성숙시킬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교육과정도 신체적 성숙을 위한 체육과 정신적 정숙을 위한 읽기와 쓰기 영적성숙을 위한 봉사 등을 균형 있게 배려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돼야 한다. 내가 경험한 선진국들은 바로 이러한 면을 실천하려고 노력하는 나라들이었다. 국민은 법과 질서를 잘 지키고 있었고, 국가는 공교육을 중요시하고 기초적인 체력과 인성교육을 중시하는 커리큘럼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가정의 화목을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여겨 가정의 평화와 가정단위의 행사를 많이 기획하고 실천하고 있었다.
길을 모를 땐 일단 내비게이션부터 켠다. 내비게이션이 안내하는 길만 따라가다 보면 길 찾기 쯤은 아무것도 아니다. 우리에게 영적인 평화까지 제공해야 하는(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정치는 혼란스럽고 그 와중에 서 있는 우리는 인생의 목적지까지 가는 길도 잘 모를 때가 많다. 그럴 땐 고전을 펼쳐보라고 권하고 싶다. '산에서 길을 잃으면 골짜기를 헤매지 말고, 높은 곳으로 올라가라'라는 말이 있다. 바로 기본으로 돌아가라는 뜻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