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자 2000억원 이상을 투입하고 국비 500억원을 들여 사업을 추진해야 하는만큼 '창조경제 랜드마크 시설'이라는 상징성과 함께 민자유치를 위한 수익성도 동시에 추구해야 하기 때문이다.
최근 시는 한국특허정보원의 사이언스 센터 유치로 공익성의 일정부분을 담보했으나, 민자유치를 위한 밑그림을 놓고 고민중이다.
민자유치를 위한 상업시설이 필수적이라면 '과학'이라는 콘셉트를 잃지 않을 개발방향을 분명히 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이언스 센터 조성방안=시는 당초 내년부터 2017년까지 엑스포과학공원내 6만6000㎡(약 2만평) 부지에 총 25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최소 20층 이상의 센터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93 대전엑스포의 상징성을 재현하고 창조경제의 랜드마크 시설로 조성하겠다는 방향과 눈에 보이는 과학과 즐거운 여가생활이 원스톱으로 이뤄지는 과학과 교육, 체험, 쇼핑이 가능한 첨단빌딩을 건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시민들이 찾을 수 있는 휴식공간이자 대덕특구내 연구자 및 과학벨트를 찾는 유수의 외국인들이 모이고 어우러지는 융복합의 커뮤니트 공간을 마련하겠다는 방향성을 갖고 있다.
시는 공공시설은 공공재정으로, 민간시설은 민자유치를 통해 조성한다는 복안이다. 공공시설은 창업보육센터와 벤처금융지원기관, 기업입주공간 등을 조성해 과학기술 사업화 기능을 갖추고 개인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제품화를 지원하는 테크숍과 과학·디지털 도서관 등이 들어선다. 또 과학기술관련학회, 과학기술자들의 재능기부센터, 커뮤니티 교류센터와 전시 및 체험관, 해외과학기술단체 등의 시설까지 공공시설에 포함시켰다.
시가 최근 유치한 6600㎡규모의 한국특허정보원도 공공시설에 포함된다. 특허정보원은 1000여명의 직원뿐 아니라 관계돼있는 변리사 등 관련 기업들을 포함하면 추후 4000여명의 인력이 상주하는 공간이 필요할 전망이다.
특허정보원 건립비용은 특허청에서 지원하게 되며, 특허 관련 시설들이 집적하게 되면 창조경제 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어느정도 공공성 확보는 담보할 수 있게 된다.
▲수익시설은 어떻게=문제는 수익시설의 밑그림이다. 그동안 엑스포과학공원에 롯데복합 테마파크가 들어서고 수익을 위한 상업용지도 용도변경을 추진하는 과정에 논란이 일었던 만큼 사이언스 센터도 예외는 아니다.
시는 과학체험과 수익시설을 동시에 추구하겠다는 방침이다.
복합과학 체험과 수익시설을 병행하는 예로는 4D입체영상관, 키드존 등 실내형 과학체험시설과 백화점, 쇼핑몰, 서점 등 수익판매시설, 영화관, 공연장, 전시장 등 문화예술공간, 스포츠센터 등 엔터테인먼트 시설, 사무실 등 비즈니스 공간 등이 포함된다.
시는 이를 위해 4~5군데의 대기업들과 접촉을 하고 있으나 뚜렷한 밑그림이 없는 상태여서 내년 2월까지 용역을 통해 수요분석을 실시하겠다는 계획이다. 시는 용역시행 이후 내년 민자공모를 통해 수익시설의 규모를 결정하고 2015년 1월 IBS착공 시점에 맞춰 동시사업 추진을 하겠다는 복안이다.
시는 지난 14일 열린 공청회를 통해 미래창조과학부에 16.8%의 상업용지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제시했고, 이에대해 국토부와 협의를 진행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창조경제와 민자사업 수익성의 접점을 찾기가 쉽지 않다”며 “지역 중소상공인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하는 범주내에서 공익성과 수익성을 담보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minyeo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