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영호 대전한국병원 신경과 과장 |
치매는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치매는 크게 가역성치매와 비가역성 치매로 나눈다.
비가역성 치매에는 알츠하이머병, 혈관성 치매, 전두측두엽치매(이마관자엽변성), 루이소체치매(dementia with Lewy body; DLB), 파킨슨치매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치매하면 알츠하이머병을 말하는 경우가 많고, 알츠하이머병이 가장 흔하다. 그 다음으로 뇌졸중이나 뇌허혈성 변화 등으로 생기는 혈관성 치매가 있다.
가역성치매에는 수두증, 약물 중독, 대사성-내분비 질환들, 비타민 결핍증, 자가면역질환 등이 있다. 이런 질환들은 원인 질환을 치료하면 치매증상이 호전될 수 있기 때문에 기억장애로 내원하면 다른 원인질환이 있는지 검사하게 된다. 증상으로는 기억력 장애로 오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단어가 잘 안떠오르는 증상이 먼저 발생한다. 말을 하다가 '그 뭐뭐 있잖아' 하면서 말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평소 잘 알던 길인데, 길을 잘 몰라 헤매는 경우 등이다. 전두측두엽치매의 경우 비교적 젊은 사람들이 성격변화 등으로 오는 경우가 많다.
치매는 기본적으로 퇴행성 질환이기 때문에 점차 악화 양상을 보인다. 기억력은 처음에는 최근 기억, 단기기억 장애나 단어가 안 떠오르는 증상만 있지만, 점차 심해지면 과거의 기억까지 장애가 오게 된다. 그리고 점차 지남력의 장애가 생겨서 여기가 어딘지, 몇월인지 계절이 어떻게 되는지, 더 심해지면 사람까지 못 알아보게 된다. 그리고 점차 악화되면 심리, 행동증상들이 나타난다. 공격성, 배회, 수면장애, 부적절한 섭식행동, 부적절한 성적행동 등의 행동증상과, 망상, 환각, 편집증, 우울증, 불안, 반복, 망상성 착오증, 성격변화 등이 나타나게 된다.
치료는 인지기능의 치료와 행동심리증상의 치료로 나눌 수 있다. 인지 기능을 치료하기 위한 약들이 일반적으로 말하는 치매약이다. 인지장애와 관계가 깊은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농도를 높이기 위해 콜린에스터레이즈 억제제를 사용한다. 또 다른 형태의 약물로는 NMDA수용체대항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행동심리증상의 치료는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비약물적 요법을 먼저 시도하여 환자의 육체적, 심리적 평온을 유지하게 해준다. 주변 환경 정비, 활동프로그램, 행동치료, 회상치료, 지남력 치료, 아로마 치료 등을 시행해 볼 수 있다. 약물은 주로 신경안정제, 항우울제, 진정 수면제 및 항경련제 등이 사용된다.
현재로서는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을 억제하거나 완치할 수 있는 치료법은 없다. 약물치료로 처음에 약간의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는 있으며, 이후에 점차 악화되는 속도를 늦추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치료가 늦어질수록 약의 효과도 떨어지고, 조기에 복용한 사람과의 차이를 따라잡기는 힘들다. 늦어질수록 약물치료를 일찍한 사람과의 차이가 커지기 때문에 되도록 초기에 발견해서 복용하는 것이 좋다.
●치매조기검진사업은…
치매의 위험이 높은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치매조기검진을 실시해 치매를 조기에 발견, 관리함으로써 치매노인 및 그 가족들의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사업이다. 전국의 모든 보건소에서 협약 병원과 연계하여 치매조기검진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보건소에서 1차 선별검사를 실시 한 후 인지능력이 저하되어 보다 정밀한 검사가 필요한 대상자는 협약 병원에서 2차, 3차 검사를 실시한다.
구영호 대전한국병원 신경과 과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