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경복 호서대 교육대학원장 |
이상하지 않은가? 필자는 그 원인 중 하나로 교육시스템을 지목하고 싶다.
우리의 교육 현실은 학생들에게 여러 단위의 수학시간을 교육과정에 편성하고 이것도 모자라 엄청난 사교육비를 지출하고 있다. 효율적이고 창의적인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각종의 수학시험에서 선다형을 배제하고 주관식 문제 시험을 전면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충남도의 수학 교원들 중 상당수가 대학에서 수학교육 및 수학을 전공한 교원들이기 보다는 다른 과목을 전공하고 교육현장에서 수학 이외의 교과목을 가르치다가 교육부의 정책적 변화에 의하여 일정 시간을 연수받고 수학을 가르치고 있다. 영어 교원들도 상당수가 그렇다. 이것은 가르치는 교원이나 배우는 학생들에게 모두가 불행한 현실이다.
대기업들은 국내외적으로 많은 기금을 출연하여 의료, 복지, 교육, 스포츠 및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대기업에는 국내외 유수한 대학 및 대학원에서 공부한 인재들이 즐비하다. 이들 대기업의 우수한 인적자원들을 교원들과 같이 활용한다면 학교교육에 큰 변화가 오고 대한민국의 우수한 인재들이 노벨상과 필즈상을 타는 학문 강국 및 인재 대국이라는 것이 객관적으로 세계적으로 입증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필자는 자율형 사립고의 설립을 환영한다. 개인의 발달속도 차를 존중하는 체계화된 수준별 학습, 본인이 선택한 과목중심으로 이수되는 교과관리, 단편적 지식이 아닌 실험, 토론을 거쳐 내면화된 지식이 쌓이며 많은 사람의 창의적 인재가 길러지기 때문이다.
최근 모 기업의 출연으로 충남에 두번째 자사고가 생긴다고 한다. 입시위주교육을 지양하고, 창의·적성 중심의 학교운영을 한다고 하니 우선 반갑다. 필자는 더 많은 기업이 보다 적극적으로 교육에 투자하고 참여하여야 한다고 본다. 교육을 변화시키기에는 교육당국, 학부모, 학교만의 힘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이다.
한편 일각에서는 자사고를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다고 한다. 나름의 논리와 이유가 있겠지만, 창의·적성 교육 차원에서 자사고의 기여도를 평가해보면 어떨까? 실제 우리는 설립취지에 입각한 탄탄한 학교 운영과, 다양한 교육과정을 통해 창의·적성 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우수 자사고의 모범적 사례를 쉽게 찾을 수 있다.
교육의 중요성은 변하지 않으나, 교육의 방법은 그렇지 않다. 교육은 항상 그 자리에 머물러 있어야 하는가? 아니면 시대와 사회가 요구하는 환경과 함께 해야 하는가? 창의·적성 교육, 어느 때보다도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시기다. 그런 면에서 충남에 새로 설립하는 자사고에 대한 기대가 크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