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지나친 기대감에 중동 두바이의 신기루를 재연할 수 있다는 지적과 함께 창조생태계에 대한 정부와 지역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주문이다.
대전엑스포 20주년을 기념해 지난 9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대덕특구 창조경제 전진기지 실현방안 심포지엄'에서 토론자들은 창조경제의 구체적 실천방안을 토의했다.
대전발전연구원 황혜란 책임연구위원은 주제발표에서 “지난 40년 대덕연구단지가 연구기반 조성시기를 보내고 기술사업화를 중심으로 기술상용화 단계를 거쳐 현재는 창조경제 시스템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회를 맞았다”며 “대전은 새로운 시스템을 수렴해 볼 수 있는 최적의 대상지”라고 강조했다.
황 연구위원의 조사에서 대덕연구단지가 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된 이후 2005년부터 2010년 말까지 대덕 입주기업체가 72% 증가하고 인력도 136% 늘어나는 등 벤처생태계의 기반이 조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선진국을 모방해 추격하는 시스템이 한계에 다다른 현 시점에서 창조형으로 전환하려면 출연연의 역할변화와 중앙과 지방정부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대전발전연구원 이창기 원장의 사회로 진행된 토론회에서 기초과학연구원 송충한 정책기획본부장은 “대덕연구단지는 40년전 국가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창조경제를 위해서 연구단지가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 국가를 선도하는 역할로 전환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국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 이장재 정책연구소장은 “중동 두바이처럼 창조경제가 지나친 기대에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해야 하고 대전이 국내적인 관점에서 창조경제에 매몰될 게 아니라 국제도시와 과학도시를 지향해야 하는 게 아닌지 계속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이병민 교학처장은 “대덕연구기관들이 여전히 갑천을 넘어 시민들에게 다가가려는 노력이 부족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미래창조과학부 방연호 연구개발특구과장은 “대덕특구를 새정부의 환경변화를 반영해 창조경제 조성방안을 추진 중”이라며 “대덕특구와 과학벨트를 연계해 응용연구를 세계적 수준으로 지원해 대덕에서 만든 상품은 전세계에서 알아주는 것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에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