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단계에서는 재개 여부가 불투명할 정도로 지역 현안과 관련된 공조 전망이 어둡다. 실무기구 참여 공문이 발송된 가운데 새누리당 쪽 시도당은 불참이 예고되는 형편이라 한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수정안 갈등이 충청권 발목을 잡는 딜레마에서 한시라도 빨리 벗어나야 한다. 진전이 없다고 회의에 불참하지 말고 참석해 진전을 이뤄내야 보다 성숙한 태도다.
다음 주 회의 재개가 순조롭지 못하면 자칫 관정협의체는 파열음을 넘어 해체의 위기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다. 분란의 핵심 뇌관이 과학벨트 논란인 만큼 요원해 보이는 충청권 재결집을 위해 이 문제를 어떻게든 정리하지 않은 채 비켜갈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본다.
관정협의체가 깨지면 안 되는 이유 또 하나는 그 활동 영역의 방대함 때문이다. 가령 세종시특별법 개정안 통과, 청주공항 활주로 확장이나 충청권 철도 조기 착공 문제, 기타 정기국회에서 다룰 지역 현안을 둘러싼 공조 구축 등 아쉬운 부분이 두루 걸쳐 있다. 광역단체 간, 양당 간 정략이 아닌 탈정치적으로 가야 하는 이유다.
지금 흔들리는 과학벨트 공조는 사실 관정협의체 구상보다 훨씬 이전부터 충청권을 마치 하나의 끈처럼 연결해 왔다. 극단적인 해체 수순은 밟지 않게 협상력을 발휘하고, 매듭 풀기가 여의치 않으면 갈등과 반발의 수위라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정기국회에서 지역이 똘똘 뭉쳐야 할 사안이 수두룩한데 시간은 8월 중순을 향해 치닫고 있다.
실제 하반기에 풀어야 할 충청권 현안은 한가득이다. 수도권 규제완화 대응 등에도 호흡을 맞춰야 하는 충청권은 어찌 보면 공동운명체다. 비단 지금 걸린 현안 때문만은 아니다. 언제든 공통의 현안 앞에 뭉치는 '따로 또 같이' 정신이 절실하다. 충청권 상생발전을 생각한다면 파국은 결코 안 될 말이다. 협의체 복원을 위해 우선 13일 실무회의부터 정상적으로 가동하기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