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국회 들어 관련 법안들을 대표발의 해놓고도 관심권 밖으로 밀려나 있다. 지방대 경쟁력 강화에 대한 공감대나 추동력이 생길 수 없는 형국이다. 법안이 잠자는 이면에서 지방대 수도권 캠퍼스 이전과 같은 모순된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도 제동을 거는 게 시급하다.
지방대의 수도권 이전을 차단하기 위한 법 개정안도 최근 발의됐다. 모두 법안 통과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예산 지원은 수도권에 쏠려 있고 정부 지원액 증가율 또한 수도권에 비해 완만하다. 지방대 육성을 통해 지역혁신체제 구축의 선순환 구조를 이룬다는 말은 허울일 뿐이다. 무엇보다 지방대 기피와 수도권 집중을 한 덩어리로 봐야 한다.
법안 입법 과정의 장벽 또 하나는 수도권대학들에 대한 역차별 논란이다. 사실 이런 불공정이나 역차별 시비를 받을 만큼 지방대 사정은 여유롭지 않다. 지방대 출신에는 의무 선발을 해서라도 기회를 줘야 할 처지다. 역할만 강조하지 말고 실질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지역인재의 유출도 지역발전에 심각한 걸림돌이다. 지방 로스쿨은 태반이 수도권 학생이다. 편입학 충원율도 수도권 대학은 90%를 넘어섰다. 또한 획기적인 채용 문화 개선이 없는 한 지방대 출신이 노동시장에서 인정 못 받는 관행은 지속될 것이다.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논하기 힘든 구조다. 헌법정신인 국토균형발전은 더욱 찾을 길이 없다.
일각에서는 조급하게 처리하지 말고 공청회 등을 열어 여론을 더 듣자고 한다. 하지만 후유증 최소화를 기다리기에는 지방대학 사정이 절박하다. 지방화 시대의 한 축을 맡기엔 벅찬 현실이다. 지역 경쟁력, 지역 경제를 유지시켜 주도록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된다. 용두사미 식 지원 정책은 실효성이 없다. 먼저 법안심사의 관문에서 헤매는 지방대 관련법안부터 조속히 처리해 마중물 역할을 하게 해줘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