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지구가 들어설 지자체들은 그렇지 않아도 갈피를 잡지 못해 어정쩡하다. 기초과학연구원 위치 변경이 기능지구 본질을 흐리지 않을지, 특히 기존 기초과학연구원 터를 산업단지로 대체할 경우에 대해 부정적이다. 역할 축소로 파이가 줄어든다고 파악한 것이다. 축소나 변질론이 커진 배경이다. 기능지구 무용론까지 나오는 심한 경우도 있다.
게다가 기능지구는 늘 관심권 밖에 머물렀다. 부지매입비 등 대형 이슈에 가려 찬밥신세였다. 이제부터는 달라야 한다. 거점지구, 기능지구와 관련한 충청권 협력 또한 절실하다. 16일로 예정된 충청권협의회에 기능지구가 있는 세종(과학벨트 활성화와 공조), 충남(과학벨트 기능지구 구체화), 충북(과학벨트 기능지구 활성화)과 달리 거점지구가 있는 대전은 과학벨트를 주요 의제로 삼지 않았다. 여기서 어떤 접점을 찾아야만 한다.
지역 정치권도 사업 정상화보다 이슈 선점을 노리고 정쟁화로 흐르는 듯한 양상마저 보였다. 과학벨트 미래에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이다. 과학벨트 현안과 무관하다는 식으로 소극적으로 임하는 지자체도 있다. 충북도의회는 과학벨트 원안 사수 결의대회를 예고하고 있다. 공조를 전제로 돌파구를 찾을 때인 것 같다.
10일 미래창조과학부 과학벨트협의회에서 기능지구 운영방안 일부가 공개됐지만 해당 지자체는 종합대책 수립 때까지 안심할 수 없다는 정서가 여전하다. 과학기반산업과 후속 연구개발 지원사업, 과학과 비즈니스 연계역량 강화 등 기능지구 사업에 차질이 없어야 할 것이다. 거점지구 사업이 조기 정상화돼야 기능지구 문제가 풀릴 수 있다.
정부와 정치권이 할 일은 분명하다. 기능지구 역할과 기능이 영향 받지 않도록 하고 이를 확실히 해두는 일이다. 총 사업비의 6%가 드는 기능지구지만 역할은 그 이상이다. 기초과학연구 성과물의 과학기반산업화로 거점지구를 뒷받침한다. 기능지구 활성화는 거점지구 발전에 도움된다. 서로 연계해야 득이 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