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아이들은 직업교육 기관으로 가기도 하지만 인프라 부족 탓에 거리에서 방황하는 학생도 많다.
대안교육 시스템이 필요하고 활성화되어야 하는 이유다. 복음신학대학원 대학교 전용란 교수(55)는 대안교육의 든든한 후원자다. 전 교수가 대안교육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는 목사로 활동할 때부터다. 교회에서 학교에 적응하지 못한 학생들을 자주 봐 왔고 이들과 학부모의 절망적인 심정을 읽을 수 있었다고 한다. 전 교수는 이같은 상황에 부닥친 아이들과 학부모들을 도울 방법을 궁리하기 시작했다.
그녀가 얻은 해답은 자신이 다니는 학교에 대안교육 인력양성과 부적응 학생들을 맡아 교육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었다.
전 교수는 “제대로 된 대안교육을 하려면 전문가가 있어야 하고 제대로 된 시설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회상했다.
이래서 만들어진 것이 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평생교육복지학과다. 이 과는 올 2학기부터 대안교육학과로 명칭이 변경된다.
전 교수는 단순히 과를 만드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를 맡아줄 전문가를 모시는데도 정성을 들였다.
성공회대에서 근무하고 있던 우리나라 대안교육 권위자인 하태욱 교수를 삼고초려 끝에 학교로 데려오는 데 성공했다. 이 과에서는 석사과정 7명, 박사과정 3명이 대안교육 전문가를 꿈꾸며 '내일'을 준비하고 있다.
전 교수는 실질적인 대안교육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도 신경을 썼다. 대전 곳곳에 뿔뿔이 흩어져 있는 대안교육 기관을 연계해 줄 대안교육센터인 '우리동네'도 생겨났다. 이 학교가 운영하는 도시형 대안학교 형태인'두런'도 전 교수의 작품이다.
'두런'에는 현재 학교 부적응 학생 10여 명이 몸을 담고 있다. 대전의 대안교육이 정상화되려면 해결할 과제가 산적하다는 것이 전 교수의 생각이다.
그녀는 “대규모 공립 대안학교보다 소규모의 도시형 대안학교가 많이 만들어지고 이 기관들이 서로 네트워크화될 때 거리의 청소년들에게 대안 교육의 희망을 줄 수 있을 것이다”며 “이 과정에서 지자체와 교육 당국의 적극적인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대안교육 전문가로 알려져 있는데 대안교육에 특별히 관심을 두게 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대전 지역에 한 해에 2000명 이상의 청소년들이 학교를 떠나고 있으며, 누적 통계를 고려할 때 현재 탈 학교 학생은 1만 명이 넘을 것이라는 계산이 나옵니다. 이에 대안적 방법이 필요하다는 생각과 함께 다양한 대안학교들과 서울의 하자센터 등을 방문하면서 대전에도 도시형 대안학교가 시급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공교육에서 다 아우를 수 없는 청소년들을 위한 장소와 대안적 프로그램을 공급해 줄 수 교육 기관들이 필요합니다.
-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안의 청소년 대안교육센터인 '우리동네'에서는 어떻게 교육이 이뤄지고 있는지요.
▲우리동네는 대전을 중심으로 하는 충청권의 대안교육기관들을 연계해 네트워크하고 있으며 대안교육의 허브 기능을 담당하고자 합니다.
현재는 첫 번째 사업으로 위탁형 교육기관으로'두런'대안학교가 세워져 대전 교육청의 위탁 학생들을 교육하고 있습니다. 두런 대안학교는 각각의 다른 상황을 가진 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육방법을 찾아가며 석 박사 학위과정 학생들이 전문적인 지식을 갖고 토론하며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적용하며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대안교육 전문가로서 대전 대안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이라 보시는지요.
▲획일적 공교육 중심의 교육에서 다양한 대안교육에 대한 인식이 전혀 없는 상태이며, 실제로 대전에 대안교육 기관이 손가락에 꼽을 정도입니다.
이에 따라 대안교육을 하는 사람들도 어려움이 있으며 제대로 된 교육기관을 유지할 수가 없습니다. 서울 등 여러 도시가 조례를 제정해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고 있는데, 대전시는 이에 대한 적극적이지 않아 대안적 교육에 대한 논의가 적극적일 필요가 있습니다.
대전시와 대전교육청이 대전의 청소년들을 위한 예산을 세우고 적극적인 재정지원을 해줘야 합니다.
-대전의 대안교육 활성화를 위해 교육당국과 주민이 가져야 할 자세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지난해 대전에서 공립대안학교 설립이 무산된 이유는 교육 당국의 대안학교 설립 추진 과정 중의 미숙함과 주민들의 대안교육에 대한 인식부족 등을 들 수 있다. 대안적 교육철학을 가진 교육자가 우선 되어야 함에도 부지와 건물을 세우는 일에만 몰두해 일을 추진해 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민 역시 청소년들의 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자세로 인식의 전환을 가져와야 하며, 지역 이기주의를 지양해야합니다.
-대전의 대안교육을 위한 제언을 해주신다면.
▲탈학교 학생을 위한 대안교육기관 설립이 시급한 형편입니다. 학교에서 나온 학생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장을 마련해주어야 합니다.
우선은 형식적이지 않은 실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조례 제정이 필요하고, 탈학교 학생들이 모여서 교육의 장으로 다시 들어갈 수 있도록 돕는 장소가 필요합니다.
청소년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놀이형 '교육카페' 형태의 공간과 체계화된 학습공간인 도시형 대안학교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세워져야 합니다.
특히 대전시는 이에 대한 지원을 아낌없이 감당해야 대전시의 청소년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강제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