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시·도별 가격 상한선과 표준 디자인이 생긴다.
교육부는 4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교복가격 안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교육부는 개인별 또는 일부 희망자의 공동구매 형태로 진행됐던 교복 구매 절차를 2015년부터는 학교가 주관토록 했다.
각 학교는 이를 위해 조달청 전자 입찰 또는 한국교직원공제회 전자 입찰, 학교별 입찰, 교육지원청 단위 공동구매 등의 방식을 활용하게 된다.
교육부는 이 과정에서 적정 수준의 교복 품질 유지를 위해 품질 심사를 통과한 업체만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게 했다.
교육부는 이같은 사립학교에도 계획을 권고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시·도별 가격 상한선도 생긴다. 교육부는 시·도 교육청별로 지역 여건을 감안, 가격 상한선을 정하도록 한 뒤 학교에 이를 준수해 교복 구매를 하도록 하기로 했다.
또 시·도교육청별 표준 디자인을 제시하고 학교에서 선택해 활용토록 했다. 현재 학교별로 교복디자인이 천차만별이어서 교복업체가 다품종 소량생산을 할 수 없어 원가가 높아지는 구조적 원인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교육부는 사회적 합의를 통한 교복 출고 가격 안정화도 꾀한다.
이를 위해 교복시장 75%를 차지하는 교복 4대 업체의 출고 가격을 소비자 물가상승률과 학부모 의견 등을 반영해 결정토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9월부터 운영되고 있는 민관교복협의회에서 이와 관련한 협의를 진행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번 대책이 안착될 경우 올해 동복 기준으로 25만원 가량인 가격이 공동구매 평균가격인 19만원 대로 6만원 가량 인하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