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는 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열린 가계부채 청문회를 앞두고 국회에 제출한 자료를 통해 “가계부채 문제가 금융시스템의 위기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으나, 취약계층 및 제2금융권 등으로 전이될 위험은 일부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기재부는 특히 “저소득층은 평균소비성향이 높고 원리금 상환부담이 커서 경기부진이 지속될 경우 소비여력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주택시장 부진으로 인한 담보가치 하락과 이에 따른 하우스푸어의 상환부담 증가도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소지가 있다”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보유자산 중 부동산 비중이 높아 자산가치 변동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국내 가계부채는 외환위기 이후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1999~2002년 경제회복기와 2005~2006년 주택시장 호황기에 급증했다.
올해 1분기 가계신용은 2009년 1분기 이후 처음으로 잔액이 줄면서 961조6000억원을 기록했다.
2011년 하반기 이후 증가세가 점차 안정되고 있으나 GDP 및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부문별로는 제2금융권 대출이 은행권 대출보다 빠르게 늘어나 전체 가계대출 중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다. 국제적으로 비교해 보면, 2011년 기준으로 한국의 GDP에서 가계부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89.5%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7개국 중 10위에 올랐다.
기재부는 “가계부채 규모와 증가속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관리하는 한편, 취약계층의 부채 상환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세종=박전규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