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연월 대전대 둔산한방병원 내상질환센터 교수 |
설사는 배변횟수가 많아지고 대변이 묽으며 혹 소화되지 않거나 물과 같은 변을 배출하는 것을 말하는데, 한의학에서는 무당, 손설, 유설(濡泄), 주하(注下) 라고도 한다.
급성 설사의 경우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감염, 음식물의 독소, 약물 및 흡수장애와 관련해 나타날 수 있고, 만성 설사는 과민성 장증후군,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등의 염증성 장 질환, 흡수장애 증후군 및 갑상선 질환이나 약제, 술등이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의학에서 설사의 원인은 외부의 나쁜 기운에 접촉되거나, 잘못된 음식의 섭취, 과도한 스트레스 및 정신적 긴장, 위장을 비롯한 장기의 허약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원인은 비위(脾胃) 즉 소화기능의 장애를 유발해 설사로 나타나게 된다.
각각의 원인에 있어서 외부 기운의 경우는 특별히 습사(濕邪)라고 해 외부의 습한 기운에 노출되거나, 환경이 습기가 많은 곳에 거주하는 경우 등에 의해서 설사가 유발된다.
비위가 본래 허약한데 걱정이나 근심, 분노 등으로 감정적인 자극을 과도하게 받으면 기운을 소통시키는 간기(肝氣)가 잘 펴지지 못해 허약한 소화기능을 더욱 약해지게 만들어 설사를 유발하기도 한다.
음식의 절제가 잘 이뤄지지 않거나 과로로 위장(胃腸)의 기능이 허약해지거나, 오래된 질병으로 비위기능을 따뜻하게 해 소화와 배변을 돕는 신장의 양기(陽氣)가 허약해져서 설사가 유발되기도 한다.
이외에도 물을 지나치게 많이 마셔 위장이 흡수하지 못하고 물이 대장에 머물러 설사가 발생되기도 하고 차가운 기운과 뜨거운 기운, 습기 등이 모여 정체되면 장의 구부러진 부위에 쌓여 뭉치고 병이 오래되어 어혈이 생기며 설사가 오랫동안 멎지 않게 되기도 한다.
급성설사는 경우는 안정과 금식으로 자연스럽게 치유가 되기도 하지만 잘못치료하거나 치료시기를 놓치면 진액손상이 심해지거나 만성설사로 진행되어 음식을 잘 먹지 못하고 병이 위독해지기도 하므로 적절한 관리와 치료가 필요하다.
설사기간에는 누워서 휴식을 하고 마음을 편안하게 하여 감정적 동요를 피하는 것이 좋으며, 몸을 따뜻하게 하고 음식은 단백하고 소화가 잘되는 음식을 위주로 먹는 것이 좋다. 설사기간은 식사량을 줄이거나 죽 등으로 위장에 부담을 줄여주는 것도 관리의 한방법이다.
설사의 예방을 위해서는 적절한 음식섭취가 중요한데, 변질되거나 불결한 음식물을 먹지 않고, 냉장고에서 갓 꺼낸 과일이나 음료, 지나치게 기름지고 열량이 높은 음식의 과식 및 과음을 피해야 한다.
장마철에는 오랫동안 비를 맞거나 습기 찬 곳에 오랫동안 누워있는 것을 피해 설사의 원인인 습사(濕邪)의 침입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감정적인 안정과 과로를 피하는 것도 설사 예방에 중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