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군은 초창기에 아토피 치료를 위해 소아과를 다녔다. 하지만 호전되지 않자 대학병원으로 옮겨 치료를 받고 있다. 대학병원 진료를 받은 후 정군의 어머니는 깜짝놀랐다. 아토피가 '경증질환'으로 분류돼 있어 약의 본인 부담금이 50%에 이르고 있기 때문이다.
정군의 어머니는 “약값이 하루에 몇천원에 호가할 정도로 고가의 약을 쓰고 있는데, 부담이 이만저만 큰 것이 아니다”라며 “겪어보지도 않고 아토피를 경증질환으로 분류하는 것은 전형적인 탁상행정이 아닐 수 없다”고 호소했다.
최근 아토피와 천식 등 환경 질환이 급증하고 있지만, 정부가 이들 질환을 경증질환으로 분류해 놓고 있어 환자들을 두번 울리고 있다.
문제는 3차 종합병원으로 몰리는 경증질환자를 막기 위해 실시한 제도이지만, 피부과 등 의원급에서는 아토피 질환자체를 치료하지 않고 있어 피해는 고스란히 환자들이 입고 있다.
지난해 정부는 52개 질환을 동네의원에서도 치료받을 수 있는 경증 질환으로 분류하고, 3차 종합병원으로 몰리는 환자들을 의원급으로 유도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 경증 질환에는 당뇨, 고혈압 등 만성 질환을 비롯해 두드러기, 천식, 아토피 피부염 등도 포함돼 있다.
경증질환으로 분류되면 1차의원에서 치료 시 약가의 30%, 2차병원이나 3차병원의 경우는 각각 40%와 50%를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
대전지역의 경우 전국 광역시 가운데 아토피 환자가 가장 많은 지역이기도 하다. 그러나 1차 의료기관 상당수가 수익적 문제로 아토피 질환을 진료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1차 의료기관 가운데 1~2곳을 제외하고는 아토피 질환을 돌보지 않고 있어, 대부분의 환자들이 대학병원으로 몰리고 있다.
지역의 한 피부과 원장은 “피부과 입장에서는 하루 수십명의 보험 환자를 돌보는 것보다, 스킨케어 환자 1명을 보는 것이 수익적인 측면에서 좋다”며 “동네의원들은 아토피 환자를 꺼릴 수밖에 없고, 장기간 치료를 받아야 하지만, 장기 질환으로 분류도 안돼있어 진료비 혜택도 받을 수 없다”고 말했다.
충남대병원 피부과 서영준 교수는 “아토피 피부염 환자들은 상태가 심각한 경우 사회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수위가 심각하지만 모두 아토피 피부염으로 경증질환으로 분류해놔서 문제가 있다”며 “면역 억제제 등의 약은 한달 약값이 수십만원에 오갈정도로 비싸 환자들이 부담을 많이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