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경매정보업체 부동산태인(www.taein.co.kr)이 2006년부터 올해 5월22일까지 경매가 진행된 주택NPL 물건 4만6081개를 연도별로 나눠 조사한 결과, 지난해 낙찰가 총액은 1조2270억원으로 집계됐다.
주택NPL 물건의 낙찰가 총액이 1조원을 넘은 것은 NPL 관련 통계 산출이 시작된 2006년 이후 처음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도별 낙찰가 총액은 2006년 554억원을 시작해 2007년 2027억원, 2008년 2811억원, 2009년 4555억원, 2010년 7084억원, 2011년9873억원을 기록하는 등 6년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이같은 분위기 속에서 낙찰가 기준의 시장 규모도 20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주택NPL 시장 규모가 커진 것은 국내 주택시장 경기 침체가 심화된 2010년 이후, 국내은행의 신규 주택담보 부실채권 규모가 매년 늘어났기 때문이다.
집을 담보로 돈을 빌린 차주가 제때 원리금을 내지 못해 새로 발생한 국내은행의 '고정 이하 여신' 규모가 해마다 늘어난 것.
이런 가운데 금융감독원이 지난 2월 발표한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에 따르면 2009년 1.8조 원이던 신규 주택담보 부실채권 규모는 2012년 2.6조 원으로 3년 만에 8000억원이나 증가했다.
전체 부실채권 대비 주택담보 부실채권 비율도 지난 2009년 말 기준 0.38%에서 2012년 말 기준 0.65%로 늘어난 것이다.
이는 부동산경매로 넘어온 주택NPL 물건의 동반 증가 현상을 낳았다.
지난 2006년 1477건에 불과했던 주택NPL 물건은 2007년 3305개, 2008년 4656개에 이어 2010년에는 8634개가 나와 2배 가까이 크게 늘었다.
주택시장 경기가 침체일로를 걸었던 2012년에는 역대 최다인 1만2299개의 주택NPL 물건이 경매시장에 나오게 됐다. 낙찰건수도 2006년 491건에서 2008년 1390건, 2010년 3208건으로 늘었다. 2012년에는 4006건을 기록하면서 역대 최다 거래치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보면 주택NPL 물건 대부분은 서울·수도권 지역에서 낙찰됐다. 2012년 낙찰가 총액 1조2270억원 중 88.7%에 달하는 1조880억원이 서울ㆍ수도권에서 나왔다. 반면 비수도권 지방 낙찰가 총액은 1390억원에 그쳤다.
그러나 지역에서도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무조건식으로 신규 아파트 청약에만 매달릴 것이 아니라 투자 가치가 있으면서도 가격이 저렴한 부실채권 경매를 통한 주택 매입에도 매리트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하반기부터 이어진 취득세 감면 호재와 함께 양도세와 취득세 면제 혜택을 담은 4.1 주택시장 정상화 종합대책이 시행되고 있어 주택구입 여건이 여느 때보다 좋은 상황이다. 부동산 태인에서도 NPL을 활용한 주택낙찰 사례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대홍 부동산태인 팀장은 “지난해 낙찰가 총액이 1조원을 넘어서는 등 최근들어 규모가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며 “주택NPL 거래가 활성화되면 매수자는 입찰 시 가격 메리트를 조금이라도 더 가져갈 수 있고 채권자는 부실채권 정리가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지지옥션 대전지부 팀장은 “대전에서도 아파트 경매건 중 NPL에 30여명이 몰리는 등 경쟁률이 높은 경우도 있다”며 “신규 아파트 대비 기존의 아파트이기 때문에 단지 형성 및 생활편의시설이 갖춰진 아파트다보니 투자 및 주거면에서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이경태 기자 biggerthanseou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