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산단은 입지 기업 인근에 근로자가 거주하며 생산과 소비가 연결되는 이상적인 구조다. 주거ㆍ편익시설로 압축되는 정주여건 확보, 특히 라이프스타일까지 고려한 만족도 높은 여건을 갖춰야 한다. 생산만이 아닌 주거, 교육, 체육, 의료, 문화 등 모든 기능의 공간적인 연계가 그 전제다.
하지만 3세대 산업단지로 불리는 만큼 실험적 요소가 없지 않다. 가뜩이나 선순환 체계 구축이 호락호락하지 않은데 예산 분할 부담, 신규 사업 발굴 곤란과 시ㆍ군 호응 저조도 원활한 사업 추진의 발목을 잡는다 한다. 시ㆍ군 조례 제정은 물론 추진위원회 구성을 통해 사실상 주역이 돼야 하는데 말이다. 기반 여건이 양호한 거점도시가 아니면 아무래도 더 소극적일 것이다.
기업과 상생할 수 있는 여건 마련과 관련해 산단 개발 사업시행자의 부담도 문제다. 사업시행자가 지역주민 채용, 접근 도로와 대중교통, 재정착 계획 등을 다 수용하기란 버거울 텐데, 이 부분도 보완할 과제라고 본다. 계획수립부터 정주대책 전반을 전담할 조직(부서)이 없다는 점 또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자치단체 최초의 시도여서 선행 모델이 전무한 것까지 초기 단계의 어려움으로 작용한다. 충남도의 활성화 노력과 각 시ㆍ군의 지원은 그래서 더욱 중요하다. 원활한 추진의 걸림돌이 무엇인지 찾아내 조성 사업의 동력을 서둘러 회복하기 바란다. 그래야 내발적 발전시스템에 근접이 가능하고 또 목표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룰 수 있다.
상생산단의 당위성은 전국 5개 권역 중 규모가 제일 큰 충청권의 소득 역외유출 규모(2010년 20조6130억원)에서도 확인된다. 기업 유치, 지역내총생산에서 성적을 내고도 지역 총소득 비율이 떨어지는 점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충남도로서는 기업유치와 실질적 소득 증대의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계획이다. 산업단지의 새로운 해법이 되자면 첫단추부터 잘 꿰는 건 기본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