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 학생 유치가 갈수록 어렵기 때문이다. 영재들의 집합소 특목고에 치이고 있다. 졸업과 동시에 대기업, 금융권 취업을 앞세운 특성화고의 존재도 무시하지 못한다.
최근에는 정부와 시ㆍ교육청으로부터 연간 1억원씩 예산 지원을 받는 자공고까지 생겨났다.
자사고 역시 일반고를 위협하고 있다.
이처럼 일반고는 이곳저곳에서 우수 학생들을 빼앗기고 있다.
대전 모 고교 교장은 “해가 바뀌면 우후죽순 특목고와 자사, 자공고가 생기다 보니 점점 우수 학생을 끌어오기가 어렵다”고 푸념했다. 비단, 이 교장만의 고민은 아닐 것 같다. 더욱이 일반고 중에서도 도심권이 아닌 변두리에 있는 학교는 우수 학생 유치가 '하늘의 별 따기'라는 것이 교육계 관계자의 전언이다. 일반고가 이처럼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학생 선발 시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고교는 이른바 '전기'와 '후기'로 나뉜다. '전기'는 특정연도 후반에 학생을 자체 선발하는 데 특목고, 특성화고 자사, 자공고가 모두 포함돼 있다.
'후기'는 이보다 2~3개월 뒤에 학생을 뽑는데 일반고뿐이다.
이렇다 보니 우수 학생들이 '전기'에서 썰물처럼 빠져나가면서 일반고에게 위기가 찾아온 셈이다.
지난 5년간 MB 정권에서 추진한 고교 다양한 프로젝트 때문에 특목고 등이 우후죽순 생겨난 것도 일반고의 위기를 부채질했다.
대전에서도 갈수록 일반고의 설 자리를 좁아지고 있다.
2014년 과학영재학교가 개교 예정이다. 개교 시기는 불투명하지만 2015년에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내에 국제고도 생긴다. 특목고가 지금보다 2개나 더 늘어나는 셈이다. 두 학교의 학년당 정원 합계는 240명으로 대전의 우수 인재가 이곳으로 쏠릴 것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교육부도 이같은 일반고 위기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 앞으로 전국 실태를 조사해 일반고에 행ㆍ재정적 지원방법을 찾겠다고 했다. 이를 위해 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한 뒤 상반기가 지나기 전에 일반고 육성책을 내놓겠다고 발표했다.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이같은 정책이 일회성 또는 '언 발에 오줌누기'식의 정책이 돼선 안 될 것이다. 또 현장과 괴리감 있는 것들이면 더더욱 안 된다.
그동안 교육 당국은 고교 다양한 프로젝트, 선택형 수능 등 설익은 정책으로 교육 현장에 혼란을 주지 않았는가.
시간에 쫓겨 떠밀리기 식으로 내놓는 것보다는 시간이 좀 더 걸리더라도 내실이 중요함을 교육 당국은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일반고 학생과 학부모, 교사들이 교육부의 현명한 판단을 주시하고 있다.
강제일ㆍ교육체육부 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