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른 어민 피해액은 25억~30억원으로 추정됐으며, 현재 폐사가 계속 진행돼 피해액이 눈덩이처럼 늘 것으로 전망됐다.
17일 도에 따르면 3월 하순부터 충남과 전북, 인천, 경기 등 서해안 일대에서 바지락 집단폐사가 발생했다. 지난 15일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는 1~2월 강추위에 의한 기온하락과 3~4월 강한 북서풍에 의한 지반 변동이 바지락 폐사의 주요 원인이라고 발표했다.
도내 피해규모는 75개 어촌계 150개 어장(2182㏊)에서 바지락이 폐사해 30~60%의 폐사율을 보였다.
이는 도내 전체 바지락어장 346곳(4737㏊)의 46%에 해당하며, 피해액은 25억~30억원 정도로 추정됐다.
현재 바지락 어장 전체에서 폐사가 진행되고 있으나, 바람의 영향을 덜 받는 지역은 폐사율이 예년수준(10~20%)인 것으로 집계됐다.
도는 지난해 전국 생산량의 30~35%에 해당하는 8000~9000t의 바지락을 생산해 왔는데, 이번 바지락 폐사로 올해 생산량이 크게 줄 것으로 예상됐다.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는 도와 시군의 협조를 얻어 지난 8~12일 해역별 폐사량 추정 및 시료를 채취했으며, 도는 가로림만과 천수만·안면도지역 어업인들의 의견을 청취해 바지락 폐사에 대한 실태 파악을 벌여 왔다.
지난 15일 전북 수산기술연구소에서는 해양수산부 주관으로 정부 차원의 대책회의가 열렸다.
이날 회의에선 피해지역 4개 시도가 바지락 폐사체 수거비와 종패 구입비, 어장환경개선비의 국비 지원을 건의했다.
도는 앞으로 어장의 2차 오염을 최소화하고 수온 상승으로 인한 잔여 바지락 보호를 위해 신속한 폐사체 수거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해양수산부에 폐사체 처리 수거비 10억원을 긴급지원 요청했다.
박태구 기자 hebalak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