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들의 격무 문제가 불거지고 있는 가운데 복지관계자 사이에서는 '그룹홈'(공동생활가정)의 근무 여건이 특히 열악하다고 손꼽힌다. ①기관·단체의 후원이 거의 없고 ②지자체의 지원도 열악하며 ③종사자들은 격무에 시달리는, 3가지 어려움(difficulties) '3D'를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각종 후원이 일부 복지시설로 쏠리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생겨나면서 일부 복지시설은 억대의 후원금이 들어오는 반면 그룹홈에는 후원의 손길이 거의 닿지 않고 있다. 복지시설 중에도 이른바 '삼성'같은 곳이 있는가 하면 그룹홈은 '3D업종'과 같은 처지라는 설명이다.
11일 현재 대전에서 운영되는 '그룹홈'은 총 48곳. 그중 장애인그룹홈이 30곳으로, 지난해 12월말 현재 125명이 생활하고 있다. 아동그룹홈은 18곳이다.
'그룹홈'은 가정 해체로 보금자리를 잃은 어린이나 장애인을 위한 '공동생활가정'이다. 그러나 소규모로 운영되다보니 '그룹홈'의 존재조차 제대로 알려지지 않아 각종 기관, 단체의 후원을 받기가 쉽지 않다. 개인 후원 역시 이름이 널리 알려진 유명 복지시설 쪽으로 쏠리고 있다.
지자체의 지원도 열악해서 '그룹홈' 한 곳당 한 사람의 인건비만 지원된다. 그러다보니 한 사람에게 갑작스런 사정이 생길 경우 그 일을 맡아줄 대체인력이 전무하다.
한집에서 가족처럼 지내는 특성상 일과 휴식의 구분 역시 명확치 않다. 24시간 365일 일하는 셈이어서 “주말만이라도 쉬고 싶다”는 것이 종사자들의 한결같은 소망이다. 하지만 대체 인력이 없는 상황에서는 이 역시 '꿈같은' 바람이다. 대체인력 충원을 위한 지자체의 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스프링클러 설치도 '발등에 불'이다. 내년 2월까지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데 비용만 1000만원 이상이 들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지자체의 지원은 전무하다.
그룹홈 관계자는 “지자체에서 지원받는 비용이 인건비와 운영비를 합쳐 연간 3400만원 정도인데 스프링클러 설치 비용까지 부담하려니 너무 버겁다”며 지자체의 지원이 반드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전시 관계자는 “그룹홈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은 잘 알지만 예산한도 내에서 조정하다 보니 어려움이 있다”며 “올해 추가경정예산에 인건비를 확보하는 등 처우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열악한 지원과 격무에 시달리는 '그룹홈'. “그렇다면 그렇게 힘든 일을, 사회복지사들은 왜 하는걸까?”
11일 만난 한 관계자는 기자의 '우문(愚問)'에 “그룹홈 장애인 중에는 13년째 함께 사는 친동생 같은 이도 있다”며 “가족같은 그들이기에, 밝게 웃는 모습을 볼 때면 힘들어도 또 힘을 낼 수 있는 것 같다”고 '현답(賢答)'으로 화답했다.
김의화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