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보다 대통령기록관은 세종시를 역사적, 문화적인 장소로 각인하는 매개물로, 예술과 친환경이 접목된 국립도서관은 세종시의 상징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녹지율이 높은 아트센터는 에코시티 문화관광 인프라가 아닐 수 없다.
물론 그러한 문화 축(軸) 완성은 세종시가 광역 문화거점으로 올라설 때 가능하다. 신생도시에 들어설 몇몇 시설만으로 문화도시가 완성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출범 초기의 문화 인프라 부재 메우기에 그치지 않고 문화예술과 더불어 성장하는 도시로 우뚝 서야 한다. 인근 자치단체와의 문화 인프라 공유, 문화예술을 통한 인근 지역과의 상생발전도 꼭 실현해야 할 가치다.
그러기 위해 세종시 인근의 대전과 공주, 부여, 논산, 청주와 청원지역 문화예술단체들과 교류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공통 배경을 갖는 지역 역사문화적 자원을 활용해 중부권 성장 거점이 돼야 하기 때문이다. '상생'은 초기 입주민과 원주민에게 문화 향유 기회 제공에서도 필요하다.
일부 자치단체가 세종시를 찾아가는 공연을 계획했지만 준비가 덜 된 상태다. 세종시민을 위한 인접지역 문화시설 확충도 구체화할 단계다. 함께 신수도권이 되려면 함께 문화예술 중심지가 돼야 한다는 생각, 문화적 감수성을 갖고 도시문화를 키운다는 생각도 가져야 한다. 전통과 현대가 어울린 문화 인프라 조성에 주력해야 하는 이유도 이것이다.
문화 인프라 부족 해소는 시급하나 그렇다고 성급해서는 안 된다. 세종시가 대한민국의 새로운 문화예술 센터이자 브랜드가 될 때 세종시 설치 목적도 앞당겨 구현될 수 있다. 행정 기능과 경제, 문화 부문이 조화롭게 채워져야 비로소 자족기능을 갖춘 행정중심복합도시가 된다는 뜻이다. 정부의 육성 의지 못지않게 세종시 등 지역의 문화예술정책이 중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