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통근자 수 감소폭은 미미하고, 외딴섬 및 낮과 밤이 다른 두 얼굴의 도시 오명을 안고 있는 게 세종시의 현주소기 때문이다.
더이상 수정안 논란에 따른 각종 사업 지연이 핑계거리로 부각되선 안되고, 정부 차원의 구체적인 실행방안 추진이 시급한 이유다.
교통 부문에서는 15일부터 BRT 차량의 운행시간이 밤11시30분까지 연장되고 , 출퇴근 시간대 배차간격이 10분으로 단축되면서 개선된 환경을 맞이하게 됐다.
상업·유통 인프라 확충 부문 역시 8월까지 400여개 업종 입점으로 다양성 확보 길을 열었다.
정부세종청사 이전 공무원을 위한 식당과 주차장, 후생시설 등 생활환경도 점차 개선되고 있고, 임시 주거지 지원도 비교적 원활한 상태다.
올해 이 같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이주민들에게 세종시는 여전히 허허벌판의 시골 도시라는 오명을 벗기 힘들 전망이다.
서울은 후순위라 하더라도 인근의 대전과 공주, 청주 수준의 인프라가 갖춰지기까지 적잖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서다.
대형마트와 백화점, 영화관은 내년 하반기, 대전예술의전당 규모의 전문 공연장은 2017년 이후에나 가능하고, 종합체육관 등의 건설계획은 아직 수립조차 안됐다.
현재 확보한 수영장과 강당 등도 주민 개방까지 적잖은 시일을 요할 것으로 파악됐다.
2015년 정부부처 이전 완료 후 성장을 담보할 민간투자 활성화 정책도 여전히 제자리 걸음이다.
예정지역에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한 행복도시특별법 개정안이 추진되고 있지만, 통과 시점에서 세종시특별법과 상충되는 지점을 극복해야한다.
진재구 청주대 행정학과 교수는 “지금 상태에서 빠르게 좋아지지 못한다면, 차라리 건설을 백지화해야한다는 극단적인 의견도 나오고 있다”며 “대통령과 국무총리가 세종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절반 이상 개최하는 등 정상 건설 의지를 몸소 실천해야할 것”이라는 의견을 내비쳤다.
세종=이희택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