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약에 따른 일회성 전시행정에 그치는 경우가 허다하면서 전통시장 상인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협약을 맺은 기관 역시 많지 않아 확대 필요성과 더불어 이용 활성화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논의가 시급한 실정이다.
26일 대전시와 전통시장 등에 따르면 몇년 전부터 정부 기관이나 대학, 기업 등 각 기관과 인근 전통시장간 자매결연을 맺어 이용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말 현재 대전지역 14개 전통시장과 대학 9곳, 기관 9곳, 기업 10곳 등 28개 기관이 자매결연 협약을 맺고 있다.
대형마트와 힘겨운 생존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는 전통시장의 수요를 높여 전통시장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하기 위해서다.
특히 전통시장 가는 날을 정해 종사자들의 전통시장 방문 및 이용을 활성화하고, 각종 물품 구매 때에도 전통시장을 이용하도록 했다.
곳곳에 대형마트나 기업형슈퍼마켓(SSM)이 들어서면서 중소상인들의 입지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자매결연 협약 체결 취지와 달리 이용 실태는 저조한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협약 체결 시점과 설 또는 추석 등 명절 때에만 반짝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관의 종사자들 역시 전통시장 이용에 대한 절실함이나 애틋함이 적어 활성화는 뒷전으로 밀리고 있는 실정이다.
전통시장 한 관계자는 “협약 당시에만 이용하는 듯하다가 이후에는 찾아볼 수 없다”며 “상인들도 형식적으로 추진하는 것을 알고 있어 별로 반가워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전통시장과 협약을 맺은 기관이 적은데다가 일부 전통시장에 4~7곳의 기관이 몰린 것도 해결해야 할 문제다.
절반 이상의 전통시장이 기관과 협약을 맺지 못했지만 일부 전통시장에는 많게는 7개 기관이 몰려 있다.
실제 대전에는 동구 15곳, 중구 13곳, 서구 4곳, 유성구 2곳, 대덕구 5곳 등 39곳의 전통시장이 있지만 협약을 맺은 곳은 14개 시장에 불과하고, 협약 기관 또한 28곳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대전시 관계자는 “전통시장의 진정한 활성화를 위해서는 자매결연 협약 이후 각 기관 종사자들의 지속적인 이용이 필요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한 것이 사실”이라며 “전통시장을 이용하는 습관의 변화, 생활화 등이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록 기자 idolnamba200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