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기 대전발전연구원장 |
과학이 발달한 오늘날, 여러 과학적인 방법으로 미래를 예측하고 대응책을 마련한다. 특히 급격한 변화가 소용돌이치는 오늘날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시뮬레이션을 해보고 수학적인 방법으로 예측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한 도시의 인구를 예측할 때도 여러 변화요인을 고려한 수학적 방법으로 예측한다. 만약에 과다하게 인구를 예측하게 되면 그 규모에 맞게 도시인프라를 구축해 놓았다가 무용지물이 되면 그 도시는 재정파탄을 맞게 된다. 반대로 과소예측을 했다가 인구규모가 더 커지면 도시인프라가 부족해서 도시가 혼잡해지게 된다.
대전이 미래 예측에 있어서 20년 뒤의 인구규모를 자신 있게 예측할 수 없는 것도 복잡한 변수들이 상호작용하기 때문이다. 1년에 만명 정도 늘어나는 지금의 추세라면 20년 뒤에 170만명 정도로 추계하는 게 맞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세종시라는 변수의 등장으로 수도권인구가 급격히 유입된다면 200만명 정도는 예측해야 할지도 모른다. 이외에도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외삽적 변수의 개입으로 인구규모가 줄 수도 늘 수도 있으니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가. 이때 외삽적 변수란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상황의 발생을 의미하는데 기술의 발전, 북한의 붕괴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그렇다고 미래의 변화예측을 포기할 수도 없다.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책을 마련해야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래변화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갖춘 도시국가 싱가포르를 벤치마킹해 볼 필요가 있다. 필자는 지난 1월 싱가포르의 총리실 산하 국가안보조정사무국을 방문할 기회가 있었는데 싱가포르가 세계 경쟁력 1위를 기록하는 비법이 바로 미래변화관리에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국가안보조정사무국은 데이터기반으로 국가안전을 위협하는 요소에 대한 주변 환경변화를 탐지해 새 기회를 발굴하는 RAHS프로그램을 2004년부터 운영하고 있었다.
RAHS는 리스크를 평가하여 폭넓게 환경을 탐색하는 시스템인데 이 시스템을 통해 발굴된 각종 위험정보를 수집 및 가공하게 된다. 수집된 위험정보는 시뮬레이션, 시나리오기법 등을 통해 분석되어 사전에 위험을 예측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하게 된다. 이 시스템에서 환경탐색기능은 미래에 나타날 잠재적인 위험과 위험요소를 확인하고 새로운 이슈들을 탐구하여 각 정부조직이 수립하는 정책들의 견고성과 전략적인 예측도를 증대시키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의 미래예측기반을 확립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성과 중에는 조류인풀루엔자와 같은 미래 시나리오를 연구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물론 해상테러와 해안침투 등과 같은 해안안전확립을 위한 해상상황 인식프로젝트를 개발한 것 등이 있었다.
이처럼 국가의 미래변화를 중앙정부가 관리하는 것 못지않게 지방정부차원에서도 미래변화관리를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지방정부는 전체적인 변화관리를 하기에는 인력과 예산이 부족하므로 시민들의 욕구 중 가장 중요한 분야라고 할 수 있는 안전에 대한 변화관리가 급선무다.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시안전문제를 적시성있고 선제적으로 해결하는 스마트시정을 실현한다면 도시경쟁력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더구나 창조경제가 화두인 새 정부정책 기조 속에서 대전지역의 특화산업인 IT기반의 융합R&D인프라역량을 바탕으로 스마트 안전산업군을 육성하고 안전산업 가치사슬 간의 연계를 강화한다면 창조적 산업 생태계 조성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대전이 안전의 변화관리로 시민의 안전한 생활을 확보하면서 안전산업을 육성한다면 일거양득이 될 수 있다. 대전이 안전산업육성에 있어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는 것은 IT산업의 메카이고 지식경제부 지정 전국 유일의 안전 IT 융합센터가 있으며 목원대에 방재정보통신지역혁신센터가 운영되고 있으며 대전발전연구원에 도시안전디자인센터가 구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시안전은 그 어떤 가치보다 중요하고 지방정부의 기본적 의무에 해당하므로 대전이 앞서 안전에 관한 미래변화관리를 서둘렀으면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