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맞춰 대전시와 자치구가 지역 비상대피소를 안내하고 있으나 일부는 부정확한 정보이거나 시설물 관리가 되지 않아 보완이 요구된다.
대전시 5개 자치구는 민간과 정부ㆍ지자체 소유 지하시설물 1240곳을 비상대피소로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
작게는 십수 명이 들어갈 수 있는 작은 건물의 지하공간부터 지하철역, 아파트 지하주차장, 지하상가ㆍ보도 등이 비상대피시설로 지정돼 있다.
서구가 비상대피소 548곳에 비상급수시설 44개로 가장 많고, 동구 268곳-31개 수준이고 중구가 85곳으로 가장 적다.
비상대피소 등이 주변 어디에 있는지 시민 관심이 높아져 대전 지자체는 시설의 위치와 규모, 비상급수의 수질 등을 구청 홈페이지를 통해 안내하기 시작했다.
또 소방방재청이 운영하는 국가재난안전센터 홈페이지(www.safekorea.go.kr)나 스마트폰 '재난알리미' 앱을 통해서 자기가 있는 곳 인근의 대피소 주소와 위치도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비상대피시설의 잘못된 정보를 수정 없이 안내하거나 현장에 안내표지판도 없어 빈축을 사고 있다.
청사를 옮겨 건물이 사라진 원동 옛 동구청사와 유성 온천2동주민센터도 청사를 옮기기 전 위치에 비상대피시설로 안내되고 있다.
더욱이 중구의 비상대피시설 위치정보는 스마트폰 '재난알리미'에서 확인할 수 없는 상태다.
비상대피시설로 지정되고도 붉은색 안내판이 없어 곳도 있어 21일 기자가 찾은 지역의 한 4층 건물은 이곳 지하에 대피소가 있는지 전혀 구분되지 않았다.
대피소를 아는지 묻는 말에 주민들은 오히려 “매일 지나던 건물이 지하대피소였냐”고 반문했다.
구 민방위 담당자는 “비상대피소 위치를 물어보는 문의전화가 일부 접수됐고, 전국적인 긴장 속에 주민들이 민방위시설을 알 수 있도록 공지하게 됐다”고 설명하고 “비상대피소 대부분 민간건물을 지정한 것으로 건물주에 보조금이나 혜택을 주지 못해 관리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