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원배 목원대 총장 |
명색이 지역 대학의 총장을 맡고 있는 필자가 놀란 것은 교사나 공무원을 선호한다는 내용이 아니라 그들 중 상당수가 취업준비생 즉 미취업 상태라는 사실이다.
물론 더 나은 직장을 얻기 위한 준비과정일 것이겠지만 기사에서 확인한 내용은 사범대 출신의 임용고시 합격이나 간호계열 외에는 결국 본인의 전공과는 무관한 진로를 선택했다는 사실이다. 불황의 시대라는 말로 위로하기에는 여전히 석연찮은 구석이 남아 있다.
사실 대학졸업과 전공의 문제는 졸업생이 처음 전공을 선택하는 대학진학 시점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학생의 전공이나 진로를 생각하지 않고 무조건 진학부터 해야 한다는 '간판 의무감'이 팽배해 있는 현실에서 대학의 전공이 홀대받는 것은 당연한 결과겠지만, 정작 대학을 졸업한 뒤 사회에 진출하는 과정에서 전공은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특히 '생애직업'의 관점에서도 첫 직장은 인생의 텃밭임에 틀림이 없고 전공분야의 직업연계성은 졸업생의 직업 안착과정 중 가장 중요한 변수일 것이다.
최근 한 조사 자료에 따르면 우리 사회의 대학 졸업생 중 안정적으로 첫 직장에 정착하는 경우는 4명 중 1명 꼴에 불과하다고 한다. 대부분의 졸업생이 최소한 두 번 이상의 직장탐색을 통해 노동시장에 정착한다는 것인데 이러한 직장이동과정은 그 자체로 사회경제적 비용을 초래하는 요소일 뿐만 아니라 직장 이동시 산업과 직업이 바뀌는 경력변동은 오히려 안정적인 일자리 정착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대학 졸업생들이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이 계열별·전공별로 뚜렷이 구별된다는 점이다. 대학전공의 선택에 있어 생애직업과의 연계성에 대한 고려가 얼마나 중요한 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일 것이다. 입학과 취업은 대학생활의 시작과 끝이라는 점에서 상당한 시간 차이를 두고 있지만 마치 반으로 접은 종이의 끝이 맞닿아 있듯 대학입학 때 선택한 전공이 취업과정을 통해 대학생활이 인생에서 갖는 의미를 평가하는 중요한 잣대가 될 수 있다. 대학선택에 있어 적절한 진로진도가 있어야 한다는 피상적인 결론이 아니라 좀 더 현실적인 대안에 대한 고민을 말하고자 한다.
목원대를 예로 들어 보겠다.
올해 처음 실시한 입학사정관제를 통해 입학한 학생들에 대한 일선 교수들의 평가를 접하면서 필자는 전공과 직업선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보았다. 입학사정관제를 거친 학생들 대부분은 자신이 선택한 전공영역에 대한 상당한 집중도를 보이고 있다.
대학에 전공이 개설되어 있다는 점은 사회가 그 영역의 인재를 필요로 함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즉 재학기간 동안의 전공영역에 대한 충실도는 향후 사회진출을 담보하는 필요충분조건이며 이러한 측면에서 입학사정관제는 학생들의 대학생활과 전공충실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기임에 틀림이 없는 듯하다. 고등학교 재학생들에게 자신이 선택할 전공을 미리 체험하고 스스로의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려있다면 이후의 대학생활이나 취업과정에서 불필요한 낭비를 충분히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이미 전국적으로 많은 대학이 전공체험과 대학입학을 연계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모의전형이나 전공체험 프로그램들인데 대학의 입장에서도 우수한 인재를 가까이에서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 임에도 대전지역 대학들의 경우 대학과 고등학교의 연계가 활발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대학에 설치된 전공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는 동시에 진로탐색에서 전형준비까지의 과정을 포괄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프로그램의 확대가 시급한 시점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