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과 같은 비누는 초기에 유럽에서 짐승기름에 잿물을 섞어 썼고, 중국에서는 석감이라 하여 잿물에 풀즙과 밀가루를 섞어 만들어 썼다. 우리나라에서도 비누를 석감이라고 한 적이 있었는데 좀 더 고급스러운 비누들은 조선말 개항기에 들어와서 1930년 무렵부터 널리 쓰였다. 지금의 고급 향수처럼 매우 비쌀 뿐만 아니라 비누냄새가 멋쟁이 냄새로까지 여겨졌다.
어쨌거나 잿물을 주로 쓰던 때 새로운 물질이 들어 왔는데 바로 양잿물이었다. 양잿물은 수산화나트륨(NaOH;가성소다)을 일컫는 것인데 서양에서 들어온 잿물이라는 뜻이다. 이 양잿물이 기름과 반응하면 비누가 되는데 주로 빨래비누를 만들어 썼다.
지금은 화공약품을 취급하는 곳에서 구할 수 있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시골의 오일장에 가면 염색물감과 함께 쉽게 구할 수 있었다. 마치 얼음덩어리처럼 덩어리로 팔곤 하였다. 양잿물은 독하고 위험하기 때문에 잘 다루어야 했다. 죽을 줄 알면서도 돈 안주고 공것이면 아무것이나 먹는다는 뜻으로 '공짜라면 양잿물도 먹는다'는 말까지 생겨나기도 했다.
덩어리로 된 양잿물을 사다가 쌀겨를 섞어서 빨래비누를 만들어 썼다. 먼저 양잿물 덩어리를 질그릇이나 오지그릇에 담긴 물속에 넣으면 물이 펄펄 끓듯이 열을 내면서 녹는다. 양잿물이 녹은 물에 기름기가 많은 쌀겨(쌀겨는 벼 나락의 속껍질을 벗겨낸 것으로 이 속껍질 채로 있는 것이 현미이고 벗겨 낸 것이 흰쌀이다. 쌀겨만으로도 기름을 짜서 요리하는데 쓴다)를 넣고 잘 섞어 버무려서 작은 단지에 넣어두면 쌀겨비누가 된다. 쌀겨비누는 마르면 검게 되고 누런색을 띠었기 때문에 똥비누라 하기도 하였다. 이제는 비누도 굳은 비누로부터 가루비누, 물비누에 이르기까지 쓰임새와 만듦새에 따라 기능성을 자랑하고 있다.
정동찬·국립중앙과학관 전시개발과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