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30억~40억원의 적자를 내온데다 사용하던 기금마저 바닥나면서 이대로라면 2016년에는 매각 처리하겠다는 내부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14일 대전산재병원에 따르면 지난해 산재병원의 적자금액은 49억원이었고, 매년 30억원 이상의 적자가 발생하고 있다. 문제는 산재병원이 산재환자를 위한 공공병원 역할을 하면서도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지원금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보훈병원 등은 보훈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병원인만큼 보훈청 등에서 병원 운영비 등 기금지원이 가능하지만, 산재병원은 근로복지공단 규정에 지원규정이 없다.
산재병원은 2008년 적자폭 감소를 위해 종합병원에서 산재환자 재활전문병원 특성화를 시도했고, 종합병원 자격을 스스로 포기하며 지역사회의 안타까움을 사기도 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대전산재병원은 산재환자에게 요양, 보상, 재활 등을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대대적인 개편을 완료했다.
환자가 병원에서 보험급여 신청과 장애판정, 심리ㆍ재활상담, 직업훈련, 취업알선까지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
산재병원은 서비스 개편을 통해 산재병원으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고,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겠다는 복안이다.
하지만 올해가 고비다.
대대적인 서비스 개편에도 불구하고 지원 법안을 만들지 못하거나, 적자폭을 줄일 수 없다면 당초 계획대로 2016년 폐업이 불가피 하기때문이다. 근로복지공단은 대전과 평택 등 일부 적자병원을 매각해 매각대금으로 울산지역에 산재병원의 '모(母)'병원을 세울 계획을 추진중에 있다. 현재 모병원 설립은 박근혜 당선인의 울산지역 공약으로 제시되기도 한 상태로 울산지역의 숙원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전산재병원 관계자는 “근로복지공단 내부적으로는 전국적으로 병원이 10개가 있고, 적자병원을 매각해 좋은 시설의 병원을 짓는다면 오히려 결과가 좋을 수 있다. 2016년 매각 계획을 세운 것은 맞지만 변수가 있는 상황”이라며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근거를 만들거나 지역민들의 많은 방문으로 정상화를 되찾는다면 매각이 아닌 다른 탈출방안을 생각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건양대병원 예방의학과 나백주 교수는 “산재병원은 산재병원의 의미도 있지만, 지역병원이라는 의미도 갖고 있어 만약 문을 닫는다면 지역주민들의 의료 접근성에 문제가 생긴다”며 “대덕구 의료가 취약한만큼 지역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역할론을 강조했다.
김민영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