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서천 금강하굿둑 근처는 군산 LNG복합화력발전소, 새만금방조제 등 대규모 국책시설들이 난립한 데다 금강 수상관광 사업으로 인한 우려도 겹치는 상황이다. 장항항을 예로 들면 항구 기능이 의심스러울 정도에 이르렀다. 수질 개선과 생태계 복원을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공동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정확한 실태 파악부터 진행해야 할 시점인 것이다.
지자체마다 입장 차이는 있지만 토사 퇴적이나 수질 악화에 대한 공감대는 상당히 일치한다고 본다. 여기에 금강하굿둑이 생기기 이전의 금강 하류 재자연화라는 보다 큰 틀의 목표가 더해져야 할 것이다. 공동조사위원회의 역할은 '조사'에 한정하지 않고 친환경적 지역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단계까지 이르러야 한다.
이 같은 다자간 활동에서 꼭 따라붙는 덕목이 상생의 정신이다. 최근 서천 금강하굿둑과 서산 천수만을 찾는 철새가 급감한 것은 중대한 적신호에 다름 아니다. 해상도시와 관련해 서천과 대립각을 형성했던 군산이 소극적인 자세에서 돌아서 그나마 다행이다. 대규모 개발 후유증에 신음하는 환경을 살리면서 지자체 간 갈등 해소의 전기로 삼는다면 일석이조라 할 수 있다.
비단 서천과 군산뿐만이 아니다. 금강 뱃길 운항 등 각종 사업 역시 환경친화적인 방향이 돼야 한다. 해수 유통, 지류와 지천 정비 사업 등 금강의 보전, 복원, 이용 전반을 같이 논의하고 풀어가야 할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부여, 공주, 논산, 전북 익산까지 함께 나서야 한다. 모든 금강 수계 지자체의 상호 관심사가 돼야 할 문제다.
금강 하류는 특히 희귀동물 서식지로서 보호가 절실한 곳이기도 하다. 중앙부처에 건의한 금강 환경 복원대책도 신속히 답이 나와야 한다. 금강공동조사위원회가 구성돼 협력적으로 운영된다면 환경 복원 대책과 지자체 갈등 해소의 단초도 찾을 수 있다. 좋은 결론이 나와 금강을 천혜의 자연지역으로 돌려놓는 초석을 다지길 기대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