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지원, 병원자금 횡령 이사장에 '집행유예' 2년 선고

  • 전국
  • 천안시

천안지원, 병원자금 횡령 이사장에 '집행유예' 2년 선고

사무국장도 징역8월ㆍ집유 2년 선고

  • 승인 2013-01-22 17:53
  • 신문게재 2013-01-23 5면
  • 천안=김한준 기자천안=김한준 기자
대전지법 천안지원 제1형사부(부장판사 이동욱)는 허위경비서류를 꾸며 병원자금을 개인용도로 사용하다 적발돼 업무상 횡령혐의 등으로 불구속기소된 아산 A병원 이사장 이모(54)씨에 대해 징역 1년 6월, 집행유예 2년, 같은 혐의로 사무국장 정모(49)씨에 대해 징역 8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고 22일 밝혔다.

재판부는 “이씨의 범행이 장기간에 걸쳐 이뤄졌으며 횡령액이 1억 7000여만원에 이르는 점, 회계장부를 허위로 작성하고 거래처에 과다지급한 돈을 돌려받는 방법을 이용해 횡령사실을 은닉한 점을 고려해 상당기간 징역형 선고가 불가피하다”고 판시했다.

하지만, 재판부는 “이씨가 범행을 모두 인정하고 횡령액에 상당 금원을 반환한 점, A병원의 발전을 위해 노력한 점 등을 고려했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

이어 재판부는 정씨에 대해서도 “매점수익금 등 횡령ㆍ배임액이 1억4600만원에 이르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엄히 처벌할 필요성이 있으나 피해액을 반환한 점등을 참착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검찰은 지난해 4월 A병원매각 과정에서의 고소사건과 관 청탁을 빌미로 금품 등을 수수한 김모(39) 천안서북경찰서 전 수사과장을 뇌물수수와 변호사법위반 등으로 구속한 바 있다.

천안=김한준 기자 hjkim707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형 라이즈' 13개대학 643억 투입 83개 과제별 사업 수행
  2. 대선정국 도심단절 철도 도로 입체화 관철시급
  3. 이재명, 사법 리스크 극복하고 세 번째 대권 도전 성공할까
  4. 대전 기간제 교사 5년간 400여명 늘었다… 정교사는 감소세
  5. [홍석환의 3분 경영] 잃어버린 나
  1. '충청의 아들' 김동연 경선완주…'포스트 이재명' 입지 굳히나
  2.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 확정…경선압승 본선직행
  3. 급식 갈등 대전교육청, 조리원 배치기준 완화로 근본적 문제 해결 나선다
  4. [편집국에서]거짓말에 무게가 있을까?
  5. 6·3 조기대선 양당 경선 종반전으로… 충청 대선 시계 빨라진다

헤드라인 뉴스


국힘 안철수·한동훈 "이재명, 개헌없이 行首 완성?" 날세워

국힘 안철수·한동훈 "이재명, 개헌없이 行首 완성?" 날세워

국민의힘 안철수,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들이 28일 나란히 충청을 찾아 전날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로 선출된 이재명 후보를 겨냥해 공세를 퍼부었다. 이 후보가 충청 핵심 현안인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과 관련해 반드시 필요한 개헌을 언급하지 않는다며 비판, 날을 세운 것이다. 안 후보는 이날 국립대전현충원을 참배한 뒤 대전시의회 기자실을 찾은 자리에서 대전·충청·세종지역 공약을 발표했다. 공약은 세종 행정수도 완성과 AI·반도체·바이오산업 육성, 수도권·세종·대전 GTX 연계 등 "충청을 미래 성장 엔진으로 키우겠다"는 안 후보의 구상을..

5월 충북 1448세대 분양… 대전·세종·충남 분양 없어
5월 충북 1448세대 분양… 대전·세종·충남 분양 없어

충청권 내 5월 아파트 분양은 1400여 세대 규모로 모두 충북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세종·충남은 분 물량이 없어 '공급 절벽'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28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5월 전국 분양예정 물량은 22개 단지 1만 7176세대(일반분양 1만 1065세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일 실적과 비교해 7% 줄어든 물량이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 1만1697세대, 지방 5479세대가 공급된다. 전국적으로 보면 수도권은 ▲경기 6603세대 ▲서울 4333세대 ▲인천 761세대가 예정돼 있고, 지방은 ▲부산..

예산 급감·정부 무관심 ‘도심융합특구’, 정치권이 불씨 살린다
예산 급감·정부 무관심 ‘도심융합특구’, 정치권이 불씨 살린다

정부가 지역소멸 해결을 위해 추진한 ‘도심융합특구’ 조성사업이 방치되면서 정치권을 중심으로 불씨를 되살리려는 노력이 구체화 되고 있다. 도심융합특구 사업을 추진 중인 5대 광역시의 국회의원들은 포럼을 만들어 공동대응에 나서고, 사업에 필요한 원활한 재원 확보를 위한 법률 개정안도 발의됐다. 우선 국회 도심융합특구발전포럼(포럼)은 4월 29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출범식을 개최하고, 국회와 지방자치단체, 정부, 민간, 학계 등이 모여 도심융합특구 추진 전략을 발표하는 자리를 가진다. 도심융합특구는 판교 테크노밸리를 모델 삼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당원 만난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대전 당원 만난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 향토기업과 함께 대선 홍보…선거 김 출시 향토기업과 함께 대선 홍보…선거 김 출시

  • 유심 교체의 긴 줄 유심 교체의 긴 줄

  • 내가 만든 모형항공기 하늘로 슝~ 내가 만든 모형항공기 하늘로 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