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종합병원 유치 논란은 충청권을 둘러싼 관계 기관간 공조 강화 필요성을 절감케하고 있다. 논란의 이면에 소통 부재 모습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표면적으로는 지난해 말 세종시와 행복청의 보도자료 배포 시점에서 드러났다.
시는 25일자 보도자료에 '서울대병원 응급의료센터 유치 박차'를, 행복청은 다음날 보도자료에 '충남대병원 응급의료센터 설치를 위한 양해각서 체결'을 내보냈다.
그동안 세종시 정상건설의 쌍두마차이자 상생협력 파트너로 자리잡은 양 기관이 외형적으로는 엇박자를 보인 셈이다.
행복청이 시 출범 전부터 서울대병원과 접촉했던 점, 의료행위 인허가권을 가진 시가 양해각서 체결 대상 기관에 빠진 점은 이 같은 해석을 낳기에 충분한 빌미를 줬다.
결국 양 기관 모두 자신의 성과에만 집착한 모양새로 비춰지게 됐다.
이 과정에서 충대병원도 토지공급 권한을 가진 행복청과 LH를 넘어 시와 긴밀한 협력과정을 지속해야했지만, 이 점이 부족했다는 게 외부 관계자들의 대체적인 중론이다.
하지만 더 이상 이 문제가 양 기관간 갈등 또는 '서울대냐, 충남대냐'라는 단순 논리로 비화되서는 안된다는 게 관계 기관 및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시가 3월께 충대병원 응급의료센터 설치 과정에서 의료행위 인허가를 뒤로 미룬다거나 충대병원이 계획을 철회할 경우, 모든 피해는 중앙 공무원 및 시민에게 고스란히 돌아간다는 점을 염두에 둔 얘기다. 당장의 의료수요 충족과 미래 명품도시에 걸맞은 의료기관 유치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위한 상생노력이 더욱 절실해진 이유다.
이번 건은 시와 충대병원을 넘어 행복청과 충청권 3개 시ㆍ도 등 관계 기관에게 시사하는 바도 적지않다는 분석이다.
향후 의료ㆍ문화ㆍ기업 등 투자유치 과정에서 이 같은 갈등 구조가 재현될 가능성이 적지않아서다.
실제로 충대병원의 세종시 선회로 당진 유치에 실패한 충남도 입장에서는 내심 아쉬움을 드러내고 있고, 대전시 역시 세종시 성장이 미칠 지역경제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오송에 임상시설 병원 유치에 나서고 있는 충북도 세종시 종합병원과 기능중복없는 의료벨트 구축을 희망하고 있다.
행복청 관계자는 “위치와 규모를 떠나 시민의 의료수요 충족에 부합하는 종합병원이 우선 설치돼야할 것”이라며 “나아가서는 단순 진료를 넘어 연구기능까지 겸비한 국제적 의료기관이 들어서야한다. 이 과정에서 세종시를 비롯해 인근 지자체와 협력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대전 소재 A대학병원 관계자는 “서울대병원이든 충대병원이든 2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을 빨리 신설하는게 우선”이라며 “당장은 아니지만 어떤 식으로든 수도권 병원이 올 것으로 본다. 지역병원도 피해를 의식해 무조건 반대하기보다는 현재보다 나은 의료서비스 제공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할 때”라고 말했다.
이희택 기자 nature2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