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금산을 비롯해 청양, 예산, 공주, 계룡, 천안, 아산, 부여 등지의 피해가 크다. 피해액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지반이 결빙된 데다 인력 부족으로 복구 작업에 애를 먹는 농가를 위해 농기계은행 사업용 장비 지원을 포함한 지원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시점이다.
일부 농가는 지난해의 폭염과 태풍 피해가 겹쳐 고통이 가중되고 있다. 지금 동시에 필요한 것은 농가 피해를 덜어주고 추가 피해를 막는 것 두 가지다. 계속되는 한파로 복구가 늦어지는 지역에 대해서는 장비와 인력 등 긴급 복구 대책에 나서야 할 것이다. 농가별 복구를 위한 예산 지원 또한 절실하다.
재난 지원 기준으로 볼 때 보조금은 국비와 지방비를 합쳐 35% 선에 그치고 있다. 소요자금의 절반 이상은 대출에 의존하거나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 구조로 돼 있다. 문제는 시설하우스 등의 피해를 입은 상당수 농가들이 중앙정부 지원을 받기 어렵다는 점이다. 1개 시ㆍ군지역에서만 피해 농작물이 30㏊ 이상이거나 시설 피해액이 3억원 이상인 경우에만 해당되는 기준 때문이다.
이런 기준에 따르면 충남도내 시설 및 농작물 피해를 입은 대부분의 농가에서 사실상 지원을 받기 어렵다. 천재로 인한 피해를 농민이 고스란히 뒤집어써야 할 처지인 것이다. 민간 보험회사의 풍수해보험에도 극소소의 농가만 가입해 거의 혜택을 못 볼 전망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일부 시설채소 농가들은 난방비 부담에 수확을 포기하기도 한다는 보도다.
현행 지원 제도 개선과 함께 농작물재해보험 확대 등 손질도 불가피하다는 판단이다. 완료된 농업시설 피해 정밀조사 외에 추가 피해는 없는지 살펴보기 바란다. 아울러 농산물 수급 대응에 힘써 물가안정에 힘써야 한다. 정부 차원의 피해 농가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그 이전에 충남도 차원의 지방비 지원 등 긴급복구 대책에 차질이 없어야 할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