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기간 동안 앞다퉈 정치쇄신안을 내놨던 여야는 이른바, '기득권 내려놓기'를 강조하며, 국회의원 정수 축소를 검토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박근혜 당선인은 후보 시절 국민경선 도입과 함께 국회 개혁 방안으로 면책특권 제한과 불체포특권 폐지도 약속했다. 특히 반부패를 강조하며 낙하산, 회전문 인사 방지를 공약했고, 부정부패 원인 제공자에게 재보선 비용을 전액 부담시키고 금품수수가 적발되면 30배 이상의 과태료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도 중앙당 권한 축소와 권역별 정당명부식 비례대표 등을 공약했다. 지난 4일 대선후보 첫 TV토론에서 문 후보는 당시 박 후보에게 “공통정책에 대해 당장 이번 국회에서 공동실천선언에 합의하고 공동으로 법안을 제출할 용의가 있냐”고 물었고, 박 후보는 “정당 및 정치개혁 관련한 공통분모는 지금이라도 처리했으면 좋겠다”고 동의했었다. 하지만 대선을 마친 지금은 그 후속 논의는 찾아볼 수 없고, 정치쇄신특위 구성 얘기만 오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쇄신의 플레이메이커 역할을 했던 이들도 퇴장한 상태다.
새정치의 아이콘으로 떠올랐던 안철수 전 후보는 미국으로 떠났고, 박 당선인 측에서 정치쇄신특위원장을 맡았던 안대희 전 대법관은 일본으로 출국했다. 민주당 문재인 전 후보가 영입했던 안경환 서울대 교수도 선대위 해체 이후 활동하지 않고 있다.
[노컷뉴스/중도일보 제휴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