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지난해 방문객수 64만명에 비해 56%가 늘어난 수치로, 올 들어 팜엑스포, 세계조리사대회, 푸드&와인페스티벌, 사이언스페스티벌과 같은 대규모 축제 이벤트가 개최됐다. 또 전국우수시장박람회, 대한민국 평생학습박람회 등 정부 주관 또는 전국 규모의 대형 박람회가 대전으로 유치된 결과로 풀이된다.
대전이 중부권 국제회의 중심도시로서 위상을 더 높이고 있다.
올 해 국제회의 유치실적은 총 62건에 달하고 대전을 찾은 외국인 수도 7000명을 넘어섰다. 이는 DCC 개관 첫해인 2008년 기록한 국제회의 31건, 외국인 방문자수 3800여명였던 것과 비교하면 5년사이 2배 가량 성장한 것이다.
뿐만 아니다. 2013년 국제치과기공학술대회, 아시아건강심리학회총회, 2014년 국제천문연맹아태총회, 2016년 국제항공공학협회총회 등 굵직한 국제회의 유치에도 성공했다.
국제컨벤션협회(ICCA)의 국제회의도시 통계자료에서 대전은 지난해 서울, 제주, 부산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작년보다 1단계 상승한 결과다.
대전은 타 도시보다 뒤늦게 MICE 산업에 뛰어들었고 컨벤션시설 면에서도 서울, 부산, 인천, 대구, 광주, 창원 등 경쟁도시에 비해 부족한 편이다. 또 주변의 호텔, 레스토랑 등 편의시설이 부족한 가운데 이뤄낸 값진 성과로 평가된다.
올해 대전은 '과학도시'로의 위상을 마음껏 선보였다.
로봇, 원자력, 항공우주, IT, 의학 분야의 국내외 학술대회가 대전을 개최지로 선택하고 있으며, 특히 기초과학연구원 개원으로 물리학, 수학, 화학 등 기초과학 분야의 학술 중심지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5년간 대전 MICE 산업의 성과는 괄목할 만 하다.
DCC 개관 첫 해인 2008년부터 올 해까지 총 2500건의 국내외 컨벤션이 개최됐고 총 270만명의 전시컨벤션 참가자들이 대전을 방문했다. 5년간 개최된 국제회의 건수는 총 293건, 대전을 찾은 외국인 수는 3만4000여명에 달했다. 이로 인한 누적 경제파급효과는 7400억원이다.
그러나 대전의 MICE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등 타 도시와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MICE 인프라를 지금보다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전은 전국 9개 전시컨벤션 도시 중 시설 규모 면에서 최하위권(8위)이며, 컨벤션 주변의 호텔, 레스토랑, 쇼핑, 레저 등 편의시설이 크게 부족하기 때문이다.
김민영 기자 minyeo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