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산업단지의 경우 3분기 말 현재 등록업체 수가 2분기 이후 4곳이 줄었고 대덕산업단지는 9곳이나 감소했다. 가동업체 수도 대전산단은 3곳이 감소했고, 대덕산단은 10곳이나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제품은 안 팔리고 원자재 가격 상승을 비롯한 고물가에 공장가동 비용은 증가하면서 이중 삼중의 고통을 이겨내기 힘겨운 업체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부도가 난 업체도 지난 10월 말 현재 21곳이나 된다.
중소기업들이 고전하는 모습은 통계치에서도 확인된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역 중소제조업체 132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10월 평균가동률은 72.7%로 두 달째 제자리걸음이다. 지난 8월보다는 1.5% 올랐다고는 하나 정상가동률(80% 이상)에는 턱없이 모자라는 수준이다. 중소기업의 조업 부진은 고용시장의 악화로 이어져 지난달 대전의 고용률은 57.9%로 전국 평균(59.7%)을 밑돌았다. 실업자 수도 2만8000명으로 지난해 이맘때보다 4000명 늘었다.
중소업체 사정이 이러니 지역경제가 제대로 돌아갈 리 없다.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가 발표한 10월 지역 실물경제 동향을 보면 생산과 소비 양대 축이 모두 부진에 빠졌다. 생산과 수출은 연초류를 빼고는 모든 분야가 감소했다. 대형소매점의 판매도 승용차 신규등록대수도 줄어들었다. 공장이 돌고 일감이 있어야 임금도 받는다. 시중에 돈이 돌지 않는다. 자영업자들이 속수무책으로 무너지는 것도 이런 상황의 영향이 적지 않다.
중소기업을 살리려면 가라앉은 경기를 진작하고 성장 잠재력을 높이는 것이 급선무다. 정부가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기업 10곳 중 6곳이 정부의 규제가 외환위기 때보다 늘었다고 보고 있다. 기업이 경기활성화에 나서도록 각종 규제를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
지자체도 중소기업들의 애로 해소에 행정력을 동원해야 한다. 지역 업체들이 인력을 구하는 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만큼 이를 해소하는데 집중해야 하겠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