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문제의 중요성이 사회적으로 부각되고 있지만, 중요성에 비해 해결 대안이 돼야하는 상담센터의 운영은 주먹구구다. 대전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총 인원은 72명이며, 이 가운데 정규직은 14명이고 나머지 58명은 비정규직이다.
정규직을 중심으로 주요 사업 등은 구성되지만, 경찰청, 법무부, 교육청, 여성가족부 등 각 기관별로 청소년에 대한 사업들이 수없이 만들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사업별로 지원금액을 받고 있으나, 정규직으로 사업을 운영할 수 없어 사업별로 1년 계약의 비정규직을 채용해 운영중이다.
사업이 종료되면 이들 비정규직의 기간도 자동 종료되는 형태다. 비정규직들은 사업별로 상담을 하는 일을 맡고 있으나, 전문성과 지속성이 필요한 사업에 1년단위의 계약직으로 채워지다보니 사업의 질은 보장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정규직들은 정작 전문성이 필요한 상담 업무는 뒷전일 수밖에 없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대전시청소년상담센터의 이번 내분사태도 사측과 정규직의 갈등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나눠지는 형국이다. 갈등 해결과 함께 구조적인 문제점도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시 청소년 상담센터 한 직원은 “전국적으로 상담센터들이 공통적으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갈등을 겪고 있다”며 “대전의 이번 사태는 이런 구조적 문제점이 곪았다가 터진 것”이라고 말했다.
내분이 장기화 되면서 상담 업무를 제대로 이어가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대전경찰청이 의뢰했던 청소년 상담 건수도 1000여건에서 올해는 60여건으로 줄었고, 사업비 2100만원도 반환한 상태다. 대전시교육청도 청소년 상담을 타 기관으로 연결을 지양하는 등 본연의 업무에 차질을 빚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청소년 문제가 발생할때마다 정부 각 관계부처에서 다른 명목의 사업비가 일률적으로 내려온다”며 “작은 사업비로 사업을 추진하다보니 위탁 기관에 이를 넘기게 되고, 위탁기관은 비정규직을 활용할 수 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minyeo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