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기대 대전문화연대 공동대표 |
디지털시대의 새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매크로 위키노믹스의 저자인 세계적 사상가, 돈 탭스콧(Don Tapscott)은 필자가 두렵게 보았던 찌르레기 새들을 21세기 가장 주목해야 할 대상으로 보면서, 우리 사회 곳곳의 조직 양상에 대해 다시 주목하고 있다. 디지털 시대에서 사람들의 관계는 단순한 정보 교환을 넘어 찌르레기들이 무리를 형성하듯 국가를 넘는 네트워크를 형성해 지식뿐 아니라 지능까지 공유하여 '집단지성'의 힘을 발휘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전 세계적 열풍을 몰고 온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을 보라. 무료 제공, 방대한 음악 라이브러리, 접근성 등을 두루 갖춘 유튜브라는 엄청난 매체 덕을 보긴 했지만 조회수 8억을 돌파했다는 이 노래의 성공은 누구나 쉽게 따라한다는 '말춤'을 빼놓고는 생각할 수 없을 것이다. 한국의 대중가요계에서 뮤직비디오는 기획사를 통한 제작 과정을 벗어나지 않는다. 유명 안무가가 곡 전체 안무를 전담하는 것이 보통의 관례라면, 말춤은 그 한 명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았다는 데서 이 노래의 성공을 찾을 수 있다. 우연히 회식자리에서 자신의 댄스팀에게 상금을 걸고 장기자랑을 했을 때 나온 춤이 말춤이었는데, 이것이 여러 안무가에게서 다양한 아이디어를 더해 빛을 발하게 된 것이라고 한다. 이것은 오늘날 주목해서 봐야 할 크라우드소싱 과정의 결과물과 전혀 다르지 않다.
'대중'(Crowd)과 '외부자원'(Oursourcing)의 합성어인 크라우드소싱은 보통은 제품이나 서비스개발과정에서 일반 대중이나 외부 전문가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다. 그래서 흔히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과 맥락을 공유하기도 한다. 한 개인이 갖고 있는 탁월한 능력보다는 집단이 갖고 있는 다양성과 거기에서 나오는 힘을 믿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활용까지도 많은 주목을 받게 되었다. 문화예술계에서도 이런 접목이 활발한데, 대전문화재단에서 올해 실행하고 있는 '예술 크라우드 펀드'의 경우 또한 이런 사례에 해당된다. 온라인 백과사전 위키피디아(Wikipedia)의 경우는 인터넷을 통해 대중으로부터 아이디어를 얻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비즈니스에서 크라우드소싱 모델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것은 자동차회사 피아트의 적용 사례가 주목을 받는다. 신차 디자인에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1만 7000명이 참여하여 '미오 컨셉트카'를 탄생시킨 것이다. 최근 국내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슈퍼스타K의 경우도 별반 다르지 않다.
이처럼 대중이 주목받고 주체로서 강조되는 시대는 일찍이 없었다. 크라우드소싱은 비즈니스 차원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문화 예술, 디자인, 일상의 라이프스타일까지도 바꾸고 관여하는 하나의 사회현상으로 자리하며, 대중을 우리 사회속에 우뚝 서게 만들 태세다. 그렇다고 우려되는 부분이 없는 것은 아니다. 크라우드소싱이 단순히 돈을 모으는 일에 국한되면 안되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대중을 모으고 지속가능한 진실성을 담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여러 사회적 기업, 비영리단체, 공익사업 등에서 두각을 드러내는 활동을 눈여겨봐야 한다. 그뿐이랴. 얼마 남지 않은 대선에서 '대중' 혹은 '국민'을 누가 더 주목하고 참여시키며 소통하려는지도 눈여겨보게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