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상현 을지대병원 신경과교수 |
많은 사람들은 흔히 뇌전증이 유전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실제 뇌전증 환자의 자녀에서 뇌전증이 나타날 확률은 5%도 채 되지 않는다. 지질 대사질환 및 아미노산 대사질환, 결절성 경화증, 신경섬유종 등과 같은 유전질환과 간질증후군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거의 유전되지 않는다.
뇌전증으로 인한 발작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뉘는데, 신체 일부분에만 발작이 일어나는 부분발작과, 신체 전부분에 걸쳐 이상이 나타나는 전신발작이 있다. 발작이 나타날 경우 일반적으로 의식이 명료하지 못한 환자의 경우에는 기도를 유지해주고 넥타이나 벨트 등을 풀어주어 숨을 잘 쉬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한데, 뇌전증 환자의 경우는 이마저도 쉽지 않다. 샤워 도중 발작이 나타나면 경추골절 등이 나타나 전신마비 증상이 올 수 있으므로 평소에 미끄럽지 않은 바닥을 깔아주는 것이 좋다.
뇌전증은 정확하게 진단하고 치료한다면 완치가 가능한 병이다. 과거에는 뇌전증 치료의 목표를 발작의 횟수를 줄이거나 예방하는 정도로만 생각했지만, 최근 뇌전증에 대한 진단과 치료법이 발전해 완치될 수 있는 질환으로 그 개념이 바뀌었다.
뇌전증과 비슷하지만 뇌전증이 아닌 것들과의 감별도 중요한데, 그 예로는 실신, 정신적 이유에서 나타나는 가성발작, 일과성 뇌허혈증, 심장 부정맥, 편두통 등이 있다. 따라서 발작이 처음으로 발생했을 때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뇌전증을 진단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실제로 하는 발작 증상이다. 하지만 발작 증상이 대부분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므로 의사가 직접 관찰하기 어렵다. 따라서 발작 증상을 지켜본 보호자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보호자의 자세한 설명이 뇌전증 여부를 판단하는 기초자료가 된다. 현재 뇌전증의 치료는 약물치료가 원칙이며, 환자의 70% 정도는 경련발작을 멈출 수 있다. 만약 적절한 약물을 복용해도 잘 조절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인 경우 국소적 뇌전증병소를 제거하는 수술을 시행한다.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미주신경자극술, 지방은 많이 섭취하고 단백질과 탄수화물은 적게 섭취하는 케톤식이요법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장상현 을지대병원 신경과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