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재인 대전시의회 부의장 |
현재 우리나라는 문화예술과 주민의 일상적 삶 사이의 간격이 너무 동떨어져 있으며, 정부의 지원과 지역주민의 문화예술향유권의 간격을 줄일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한데, 지역문화공간으로서 기존의 미술관이나 박물관 등의 문화예술시설이 담당하기 어려운 부분인 문화예술과 일상적인 삶이 공감할 수 있는 대안 공간으로서 창작스튜디오가 주목받고 있다.
지역사회의 문화예술 공간으로서 창작스튜디오의 역할에 주목하고 중앙 중심의 문화예술의 생산과 소비 시스템에서 벗어나 각 지역사회가 문화의 중심지로서 역할을 하는 대안 공간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공감하고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속에서 우리 대전에 문화예술 창작공간의 마련을 통해 중부권 문화도시로서의 거점역할을 수행하고, 지역의 특성을 살리며 지역예술인의 자유롭고 창의적인 창작활동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지역의 유휴공간이나 낙후된 공간을 문화예술 공간으로 재탄생시켜 지역을 활성화하고 경제적인 부가가치까지도 창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 작가지원의 차원을 넘어서는 적극적인 기획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의 문화향유 수준을 높이고 지역시민과의 소통을 이끌어낼 수 있는 프로그램, 그리고 과학예술이라 하면 곧바로 대전 창작스튜디오를 떠올릴 수 있는 특화된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고, 창의적인 작가들을 적극 유치하여 프로그램을 현실화시키는 작업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단순히 물리적인 작업공간이나 금전적인 창작지원을 제공하는 것보다는 창의적인 작가들이 창작스튜디오를 매개로 하여 지역소통과 국제교류에 기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강화하는 것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이 지역성과 국제성을 아우르는 글로컬리즘(glocalism)과 일회적인 물리적 지원보다 신진작가와 지역 사이의 소통과 상호성장을 도모하는 인큐베이팅(incubating)이 강조되는 이유다.
창작스튜디오의 특화 전략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조직운영의 전문성이 필요하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조직과 인력, 시설 면에서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단순한 사무행정 관리형 조직으로는 스튜디오 운영의 전문성을 확보할 수 없다. 특화된 콘텐츠를 생산하기 위한 운영주체로는 시(市)와 같은 지자체의 행정조직보다는 문화재단과 같은 전문조직이 적절할 것이다.
과학도시라는 대전시의 이미지를 살리되 국제적인 네트워크 형성에 용이한 과학예술 중심의 창작스튜디오를 조성한다면, 국내의 다른 창작스튜디오와의 차별성을 획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차 특화된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국제적인 문화교류의 장으로까지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대전이야말로 이미 지역성과 국제성을 모두 품을 수 있는 과학이라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곳이니 만큼, 이를 적극 활용하고 특성화한다면 지역문화의 활성화를 꾀하고 과학예술의 국제교류를 추진하는 차별화된 창작스튜디오를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대전은 아직 창작스튜디오 설립을 추진하는 걸음마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대전광역시의회는 타 지역의 성공과 실패 혹은 다양한 시행착오를 교훈으로 삼아 내실 있는 조성사업을 수행할 있도록 적극 지원하여 대전의 창작스튜디오가 특성화된 시설로서 전문성을 가지고, 시대의 변화에 부응하는 차별화된 창작기반시설이 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