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명화 우송대 스포츠 건강관리학부 교수 |
일반적으로 사람이 물속에서 느끼는 무게는 체중의 약 20% 정도다. 그러므로 수영은 운동에 의한 충격이 적어서 근관절 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규칙적인 운동은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물속에서는 육지에서 보다 체온을 유지하고 활동하는데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열량이 필요하므로 비만을 예방할 수 있다.
요즈음은 생활이 윤택해져 많은 사람들이 스쿠버다이빙 등의 수중 운동을 즐기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기 중에는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압력의 변화가 서서히 일어나지만 수중에서는 깊이가 약간만 변화하더라도 압력이 급격하게 변해 잠수를 하게 되면 수심 9m에서의 압력은 인간이 견딜 수 있는 기압의 2배 정도가 된다.
수중에서는 잠수장비를 착용하므로 수압에 따라 산소의 요구량을 충족시켜 주지만 잠수도중 불필요한 동작이 많아지면 산소요구량이 증가하여 체내에서 요구하는 충분한 산소를 공급할 수 없게 되므로 호흡곤란으로 공포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수중운동을 하려면 수심에 따른 압력의 변화에 대한 건강검진이 필요하며 장비에 대한 교육과 수심에서의 적응훈련이 필요하다. 비교적 얕은 물이나 수영장일지라도 갑작스럽게 잠수를 하면 혈액순환에 장애가 생겨 체내에 이산화탄소가 축적된다.
체내에 이산화탄소가 과다하게 축적되면 말초조직의 감각이상과 시각장애, 환청, 근경련, 호흡장애 등의 산소부족 증상이 나타나며 관절통이 발생한다. 수중운동에서 가장 위험한 것은 물속에서 호흡곤란으로 공포에 질려 숨을 멈추고 갑자기 물 밖으로 나오는 경우다. 갑자기 물 밖으로 나오게 되면 증가한 압력이 갑자기 내려가 미세한 폐조직을 파괴하거나 혈액내에 공기의 유입으로 인한 질소거품으로 색전증이 발병한다. 색전증은 혈류의 흐름을 차단해 폐조직을 파열시키며 늑막강 내로 공기가 유입되면 기흉이 발생하여 산소부족으로 인한 심부전이나 호흡장애를 일으켜 생명이 위험한 상태가 된다.
폐포내 공기의 팽창으로 인한 색전증과 폐포 파열에 따른 기흉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깊은 수심에서 수면으로 오를 때는 호흡곤란으로 공포를 느끼더라도 당황하지 말고 천천히 압력에 순응해 물방울이 물 밖으로 올라오는 속도에 따라 서서히 물 위로 올라와야 한다. 수심이 깊은 곳으로 잠수를 하면 압력 증가로 인해 고막의 파열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수중운동을 하기 전에는 귀의 검사가 필요하다. 호흡기 이상과 심장기능 및 귀의 이상이 있다면 잠수는 삼가야 하며 이상이 없더라도 잠수 중 신체에 산소부족으로 인한 통증이 느껴지면 잠수를 포기하고 수면으로 올라와야 한다.
(우송대 스포츠건강관리학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