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금강유역환경청에 따르면 지난 26일 질병 또는 독성 물질에 의한 폐사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충남수산과학연구소 및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의뢰했던 검사 결과가 통보됐지만 별다른 특이점이 확인되지 않았다. 앞서 환경청은 물고기 폐사지점 인근 수질자동측정망 자료와 용존산소량 및 수소이온농도(ph), 생태독성 등에 대한 자체 분석에서도 이상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했다. 환경청은 더 이상 뚜렷한 원인을 규명할 방법이 없다고 판단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아무런 이유 없이 물고기 수만 마리가 집단 폐사해 열흘 넘도록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환경청이 26일까지 집계한 물고기 수거량은 약 5만 마리, 이미 환경단체가 처음 주장했던 폐사 규모를 넘어섰다. 확인된 폐사량이 늘면서 환경단체는 폐사된 물고기를 10만 마리 이상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환경단체는 '원인을 알 수 없다'는 환경청의 조사 결과가 예견된 결과라는 반응이다. 강 생태계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 필요성도 제기됐다.
'금강을 지키는 사람들' 양흥모 상황실장은 “환경부가 국민을 우롱한다고 밖에 볼 수 없다”며 “대규모 환경 참사가 벌어졌음에도 몇 가지 수질 검사와 물고기 몇 마리에 대한 독성 검사 및 질병 조사를 한 것만으로 충분한 조사가 이뤄졌다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양 실장은 이어 “대량 폐사로 물고기의 씨가 마를 만큼 금강에 큰 변화가 있다고 볼 수밖에 없는데 환경부의 대응은 안일하고 체계적이지 못하다”며 “표피적인 조사로는 원인을 알 수 없고, 하천 바닥 토양을 비롯해 전반적인 강의 환경 변화에 대한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가운데 사태가 장기화 되면서 환경 당국의 대응에 대한 비판과 함께 2차 피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금강을 지키는 사람들은 이날 성명을 통해 “처음부터 독극물이나 오염물질 유입으로 인한 물고기 폐사나 질병 관련 폐사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판단하고 피해 현장의 환경을 종합적으로 역학조사하는 민관 합동정밀조사를 제안했음에도 환경부는 검토조차 하지 않고 있다”며 “안이한 대처와 소극적 대응으로 썩은 물고기 사체들이 다시 수질을 오염시키는 등 2차 피해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금강유역환경청 관계자는 “다각적인 조사에도 원인을 알 수 없어 모든 상황을 환경부에 보고했고, 낙동강에서도 유사한 상황이 발생한 만큼 환경부에서 총괄해 대책을 세워나가기로 했다”며 “합동조사 등 환경단체 요구사항도 환경부에서 검토될 사항”이라고 말했다.
이종섭 기자 noma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