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지호 이응노미술관장 |
이는 수도권과 여타 지역의 심각한 불균형으로 인해 정부가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중앙집권적 체제에서 지방분권체제로 전환하였더니, 행정과 재정의 결정권을 갖게 된 지자체들이 문화예술의 가치와 이에 따른 산업적 효과를 지역경쟁력의 변수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따른 수요로 인해 미술관이 하루가 멀다하고 늘어나고 크고 작은 전시가 곳곳에서 개최되면서 관람객들이 예전보다는 적극적으로 그림을 보기위해 전시장를 찾고 있고, 이와 함께 미술애호가의 숫자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미술관의 문화적, 사회적 기능과 역할 측면에서 본다면 대부분 미술관운영의 현실은 만족스럽지만은 않다.
우선 공립미술관은 공공시설이면서 동시에 지역문화예술의 거점으로서 단순히 그림만을 보여주기 위한 장소일 뿐 아니라, 정보를 공유하고 소식을 나누는 지역공동체의 핵심시설이다. 그럼으로 미술관은 건립준비와 동시에 중·장기적 차원에서의 마스터플랜과 함께 건물 같은 외적인 하드웨어 부문의 유지비용 외에도 수집, 관리, 보존, 조사, 연구, 전시비용 등이 철저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미술관의 경우 자칫 지자체장의 치적으로 인식되어 시설의 외형적 측면과 형식적인 운영에만 신경을 쓰고 미술관의 본질적인 운영의 질을 좌우하는 위의 내용에 대한 고민은 상대적으로 축소되어 문제를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다음으로 공립미술관은 지역적 정서가 고려된 미술관으로 지역민의 미적 정서 함양과 시민교육의 현장으로서의 역할이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하며 동시에 사회적 역할과 공공성에 대한 문제의식을 저변에 두고 지역미술의 역사적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는 아카이브사업이 지속적으로 수행되는 곳이어야 한다.
그래야 자료를 바탕으로 지역미술문화의 미래 비전을 준비하고 제시하며 비로소 지역민의 문화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것이다. 끝으로 공립미술관은 학예실의 전문성에 대한 확실한 인식이 필요하다. 오늘날과 같은 정보화 사회에서는 과거에 한정된 미술사학자나 전문가들만이 소유하던 미술전문지식을 인터넷의 정보사이트를 통해 일반인도 누구나 원하면 상당 수준을 갖출 수 있으므로 미술관의 전문인력들은 미술전문지식만으로는 경쟁력을 갖기 어려워진 것이다.
학예사는 자질과 전문성을 갖추고, 좋은 작품을 간파할 수 있는 높은 안목을 지니고 있어야 함은 물론이고, 미술사적 지식과 풍부한 경험, 국제미술계의 흐름도 잡아갈 수 있는 다양한 능력을 필요로 한다. 아울러 장기적인 문화경향을 예측하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함께 미술사학, 비평론의 연구 등 미술계의 전문역할 담당 및 작가와 관객을 역동적으로 연결해줄 수 있는 통로확보, 관객의 취향과 문제의식 파악, 인력을 조직하고 예산을 편성하는 행정가적인 업무수행능력도 지녀야 한다.
그 뿐 아니라 보험, 작가나 소장가, 미술관과의 계약 등 법률적인 문제해결 능력도 필요하며 소장품에 관한 기록을 만들고 관리하는 레지스트라(registrar), 홍보전문가, 전시디자이너, 수장고 관리 및 작품보존수복을 하는 컨서베이터(conservator), 교육전문가인 에듀케이터, 학예행정전문가 등과 같은 전문인력들과 함께 팀이 되어 미술관을 효율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