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보다 더 실질적이고 구체성을 띤 대책과 실행 의지가 절실하다. 지금 거론되는 공공기관 입주, 시민대학과 연합교양대학 운영을 포함한 좀더 다양한 방안으로 접근해야 한다. 도청 이전은 유동인구 감소와 경제활동 위축으로 직결된다. 앞으로의 대책은 이미 쇠퇴된 원도심 기반이 더 빠르고 심각하게 약화된다는 기본 가정에서 출발할 필요가 있다.
이는 과거 행정기능 이전이 수반된 대전시청사의 둔산행 이후 ‘선행학습’을 했던 사안이다. 기관 몇 개 옮겨오고 리모델링 조금 해서 빈자리를 완전히 채울 수 없다는 것도 경험했다. 기본적으로 원도심 활성화에는 인구 유입이 전제돼야 한다. 전남도청의 남악신도시 이전으로 비슷한 현상을 겪었던 광주시의 경우는 현재 상권이 살아나고 있다. ‘돌아온 전성기’를 위해 기울인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다.
지금 갖춰야 할 것은 낙후 속도가 빨라질 가능성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다. 그리고 원도심 활성화 조례까지 제정하는 등의 의지에도 효과가 저조했던 한계를 인정하는 것이다. 도청 이전을 공동화 아닌 활력소로 만들려면 비장한 각오로 돌파구를 찾지 않으면 안 된다. 문화공간과 아우른 상업화한 공간으로 채워 지역경제를 살린다는 두 축을 항상 생각하기 바란다.
기존의 정책에도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도청사의 역사문화유산에 기반을 둔 도시재생 사업이라는 큰 틀에서 접근하면서 그 일대나 중앙로에 국한하지 않고 원도심 전체로 확대해야 하는 문제도 있다. 광주시의 도청 부지 주변 활성화의 부분적인 성공은 아시아문화전당 등 건물 활용만이 아닌 문화콘텐츠 업체 500곳 유치 등 문화적인 측면의 강화에 있었다.
도청 이전 이후의 원도심 정책은 도시균형발전과 경쟁력 관점에서도 바라봐야 한다. 대전시는 시민이 공감하는 가운데 대전시의회 원도심특별위원회 등과 활발히 처방을 논의해야 할 것이다. 주변지역과 공간을 연계한 네트워크 부재와 같은 기존 정책의 문제점을 알아야 원도심 부활이라는 추진 방향도 잘 설정할 수 있다. 23일 있을 ‘도청이전부지 활용방안 협약’에서도 진전된 내용이 나오길 기대해본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