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은 지난 2006년 고령인구 비중이 14%를 넘어서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이제 10년 뒤면 초고령사회에 접어들 것이라는 게 충청지방통계청의 전망이다. 다섯 명 가운데 한 명이 노인인 사회에서 노동력은 줄어들고, 재정수입은 감소하며, 성장동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노인부양에 따른 사회적 비용은 크게 늘어날 것이다.
더욱 심각한 것은 황혼이혼이 갈수록 늘고 있다는 점이다. 작년 한 해 충남의 고령인구 이혼건수는 219건으로 10년 새 3배 가까이 늘어났다. '나홀로' 노인 가구는 가난 고독 질병의 3고(苦)가 짓누르는 재앙이고 사회에는 부담이다.
'젊은' 대전이라고 '남의 일'로 여길 일이 아니다. 대전은 올해 고령인구 비율이 9.3%로 울산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낮지만 2022년에는 고령사회, 2030년에는 초고령사회에 접어든다. 초고령사회 진입에 단 8년밖에 걸리지 않는다는 예측은 고령화가 아주 빠른 속도로 진행되리라는 경고다. 충북도 2023년이면 초고령사회를 맞이한다. 이에 대한 준비를 해야 한다.
정부는 5년간 75조8000억원이 투입되는 '저출산ㆍ고령사회 기본계획'을 2년 전에 내놓았다. 국가적 정책은 계획대로 진행하되 충청권 자치단체는 지역의 사정에 맞춤한 대책을 마련해 시행해야 하겠다. 통계청 조사에서 지역 60세 이상 고령자들은 가장 어려운 문제로 '건강문제'를 꼽았고 경제적인 어려움, 외로움과 소외감, 노인복지시설 부족이 뒤를 이었다. 따라서 건강검진을 복지서비스로 원했고 간병서비스도 많은 노인들이 원했다. 이런 요구에 부응하는 대책이 나와야 한다. 일자리 창출로도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고령사회를 현실로 받아들이는 사회적 인식, 고령사회에 걸맞은 생활환경의 변화도 아울러 실현돼야 한다.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고령친화적인 주거 및 교통환경을 조성하고 여가문화 운동 등 다양한 사회참여 루트를 개발해야 한다. 무엇보다 빈곤층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