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역이나 사업성 검토없이 하루아침에 사업 추진명을 바꾸고, 100개의 시설물 교체 기한도 2014년까지 2년 남짓 남았다.
더욱이 본보가 특성없이 공원당 1억원씩 투입해 시설물 교체에 급급한 문제점<본보 2월 20일자 8면>을 지적했지만, 사업내용에 변화가 없다가 시장 지시 한번으로 사업이 갑자기 바뀌었기 때문이다.
염홍철 시장은 지난 17일 실ㆍ국장과의 티타임에서 “마을단위 주민들의 휴식ㆍ소통장소 제공은 물론 각종 개발사업에 대응한 도시 녹색공간의 확충이 절실하다. 대상공원별 민간추진위를 구성해 테마형 마을공원으로 만들어 볼 것”을 주문한 바 있다.
시는 당초 2014년 말까지 지역내 어린이 공원 100곳을 리모델링 할 계획이었다. 올해 25곳에 25억원, 2013년 35곳 35억원, 2014년 40곳에 40억원 등이다.
이는 2008년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 개정으로 점검결과 불합격한 시설로 2014년까지 기준을 맞추지 못하면 폐쇄조치 해야 한다.
시는 올해 25개 어린이 공원을 기준에 맞추는 형태로 리모델링 하는데 25억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1개 공원당 1억원 꼴이다. 이미 이들 25개 어린이 공원의 리모델링은 마무리 시점이다.
염 시장의 어린이 공원 조성사업 변경 지시 이후 하루아침에 예산을 5배이상 늘려 1개 공원당 5억원 내외의 사업비를 투입할 계획이다.
모두 500억원 규모이며, 2017년까지 추가조성사업(60곳)을 포함하면 800억원 규모다.
문제는 수백억원의 사업비 투입이전에 충분한 사업 논의도 없이, 실무부서의 충분한 사업성 검토를 거치지 않은 졸속 추진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갑자기 늘어난 예산으로 조성 기한까지 촉박해 제대로된 그림이 나올지도 미지수다.
서울, 광주 등 타 지자체는 어린이 공원 조성에 앞서 공모사업과 용역, 공청회 등 다양한 의견수렴 과정을 거친바 있다.
리모델링 되고 있는 어린이 공원들의 사용 빈도나 이용 대상, 편의성 등에 대한 내용 파악조차 되지 않고 있어 예산 투자 가치에 대한 효율성 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당초 예산이 없어 1억원으로 시설 기준을 맞추려 했던 것”이라며 “예산이 5억원 정도로 늘어나면 마을에서 필요한 시설 조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